[기자수첩] 제조혁신의 첨병 ‘스마트공장’ 어디까지 왔나
  • 이건오 기자
  • 승인 2019.10.25 15: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초단계 넘어 고도화 통해 글로벌 경쟁력 키워가야
[]
스마트공장은 국내 제조업 르네상스 시대를 여는 제조혁신의 첨병 역할이 기대되는 산업 분야다. [사진=dreamstime]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지난 10월은 2019년 국정감사로 뜨거웠다. 산업,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국정 수행 기관에 대한 감사로 새로운 이슈들이 연일 터져 나왔다.

스마트공장과 관련해서는 제대로 된 평가지표를 개발해 정확한 실태 분석으로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이뤄가야 한다는 내용을 비롯해 스마트공장 보급 및 고도화와 관련된 수준 정체, 지역별 편차, 지원 예산 적정성 등이 지적됐다. 더불어 스마트공장 구축 이후 실질적으로 적용된 현장에서의 활용도에 대한 문제도 제기됐다.

현재 스마트공장 지원 정책은 양적 지원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앞으로는 이를 고도화해 ‘연결성’을 기반으로 한 제조업 가치사슬의 통합과 맞춤형 제조공장 지원으로 변모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실제로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은 공장구축기술 공급기업의 기술 수준이 선진국 대비 매우 부족하고, 공급기업 수도 부족한 상황에서 양적인 지원 확대에만 지나치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자칫 스마트공장 보급수요를 맞추기 어려울 수 있고, 낮은 수준의 스마트공장 보급만 확대될 우려도 있다. 또한 중기부, 산업부 등 다수 부처에서 스마트제조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정부지원 정책의 효율성이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스마트공장은 국내 제조업 르네상스 시대를 여는 제조혁신의 첨병 역할이 기대되는 산업 분야다. 국내 스마트공장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스마트공장 보급 및 고도화 사업이 어디까지 왔는지 객관적인 눈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투명하고 단순화된 지원 사업과 수요기업에 집중된 지원 정책이 필요한 부분이다.

또한, 내수시장의 한계라는 요소가 늘 붙는 국내 산업의 특성상 해외로 진출의 창구도 열어놔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부처 간 협의를 통해 기정원, TP, 추진단, 산업혁신운동본부 등 분산된 정책지원 창구의 일원화를 비롯해 국제표준에 적극 대응하면서 기술격차를 좁히고 수요 급증 예상 국가의 시장 상황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