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표준화는 성큼, 놓치는 인프라에 사용자는 불편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5.05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보급을 활성화하는 데는 무엇보다 안정성에 대한 검증과 범용성이 중요하고,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이른바 표준화 과정이 따른다. 국내 전기차 산업도 표준화가 이뤄지면서 모듈화가 가능해졌고, 이를 통해 기업 상호간 협업이 가속화되는 측면이 있다.

충전요금 제각각, 전기차 서비스 표준 제정 시급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최근 전기차 국제 표준화 작업은 성능안전기준은 물론, 충전인프라 이를 테면 급속 충전기술 나아가 자기공진 방식을 이용한 무선충전기술의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다.

산업이 확대되면서 기술표준에 이어 보급과 장려를 위한 정책,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서비스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표준이 요구된다. 이런 전기차 시장의 표준화에서 가장 우선되어야 할 표준 영역으로 전차차 충전 요금에 대한 표준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매일 의왕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전기차 이용객 윤국현씨(가명)는 “전기차 시장의 표준화가 되고 있는 지 의문이다”면서 “전기차를 이용하다보면 운영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또는 완속과 급속 간에도 일정하지 않은 요금 차이가 나고, 충전하는 시간대별로도 차이가 심해 이용에 혼선이 따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기차 충전 요금 등 서비스 표준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전기차 충전 요금 등 서비스 표준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시간과 장소, 사업자에 따라 충전 요금 달라

윤 씨의 지적처럼 현재 국내 전기차 요금은 경부하시간대 충전요금과 부하시간대 충전요금이 다르고, 급속과 완속 역시 다르다. BC그린카드를 이용하면 최대 50% 추가할인된다. 때문에 기존 내연기관에서 볼 수 있었던 최저가 주유소를 찾아 헤매는 알뜰족이 전기차 오너 사이에서도 심심치 않게 발견되고 있다. 윤 씨도 주로 밤 11시부터 오전 9시 경부하 시간대에 충전소를 찾고 있다고 소개했다.

현재 전기차 충전 시설을 분류하면 가정용과 개방형으로 구분되는데 가정용은 전기차 구매자가 신청해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이고, 개방형은 환경부 등 기관과 단체, 또는 사업자 등에 의해 설치되고 있다. 때문에 윤 씨의 말처럼 운영주체에 따라서 또는 완속과 급속, 시간대별로 충전 요금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아이오닉 완속 기준으로 유류비가 리터당 1,499원이라고 가정하면 개인 완속의 충전요금은 71.3원/kWh이고, 급속의 경우 173.8원/kWh에 충전요금이 발생한다. 급속충전기의 경우 완전방전상태에서 80% 충전까지 30분이 소요되고 고속도로 휴게소나 공공기관 등에 주로 설치되어 있다. 빠른 시간에 충전되어야 해 고용량의 전력이 공급돼 50kW급이 주로 설치되고 있다. 이에 비해 완속 충전은 급속과 같은 수준의 충전에 4시간가량이 소요되고 배터리 용량은 6~7kW 전력용량을 가진 충전기가 주로 설치된다. 100km당 급속충전기가 2,700원의 요금, 완속은 절반에 못 미치는 1,100원의 충전요금이 발생하고 있다.

KT가 충전요금 통일안을 5월부터 적용한다. [사진=KT]
KT가 충전요금 통일안을 5월부터 적용한다. [사진=KT]

5월 전국 기준, 5,735대의 충전기 보급

약 3만대의 전기차가 보급된 국내 시장에 2018년 5월 기준으로 충전소는 3,867개, 충전기는 5,735개가 보급돼 있다.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인프라가 구축됐지만 충전요금이 제각각이라 이용자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 충전위치에 따라서도 요금 차이가 발생한다. 일례로 전기차 충전사업자인 포스코 ICT는 지난달 충전기 위치에 따라 요금제를 차등부과하기로 했다. 상업지역에서는 kWh당 245원, 관공서와 아파트 등 공공 및 주거지역이면 179원을 적용한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다. 전국 3,000여기의 전기차충전기를 운영하고 있는 KT는 이달부터 계절과 시간대에 따라 전기차 충전요금을 최저 130원/kWh에서 여름철 최대부하시간 최고 337원/kWh)까지 차등 적용하던 것을 5월 1일부터 계절과 시간에 관계없이 170원/kWh로 단일화했다.

현재 전기차 관련 국내 표준은 전기차 직접식 충전시스템, 전도성 충전시스템 등 충전시스템, 자동차 플러그와 소켓 등 커넥터, V2G 등 통신 인터페이스 등에 집중되어 있다.

성신여대 허경옥 교수는 ‘전기차 표준화의 방향에 대한 논의’에서 “전기차 생태계 구축전 전기차 보급에만 치중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이용 불편이나 불만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던 것이 사실이다”면서 “소비자 니즈 또는 소비자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소비자 지향적 표준이 추구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전기차 도입 초기 기술표준화에 집중했다면 이제 서비스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할 시점이 됐다는 말이고, 그 시작을 충전요금에 대한 이용자들의 혼선을 줄이려는 노력이 되어야 한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