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에 올인한 정부, 아쉬움 털어놓는 중소기업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5.23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상풍력 추진에 대한 정부의지가 확인됐다. 풍력업계의 이해를 담은 풍력개발 추진 방안이 효과적으로 전달된 것으로 보이고, 다만 해상풍력 사업간 비용을 줄이는 방안 제시가 이뤄져야 보급 확대가 순조롭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먼 바다 해상풍력에 혜택, 비용과 기술이 관건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해상풍력에 대한 신뢰성 높이기가 본격화될 조짐이다. 해상풍력에 대한 가중치가 상향 조정되고, 연계거리가 멀어질수록 변동형 가중치가 적용되면서 깊은 수심에서의 해상풍력 구축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8일 개최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개선 공청회에서 삼정KPMG 장현국 상무는 “경제성과 정책성 등을 고려해 각 전원별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한 결과 해상풍력이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이 가중치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실제 이날 발표된 연구 결과에서 해상풍력은 신재생연계 ESS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해상풍력에 대한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가 가중치에 반영됐다. [사진=pixabay]
해상풍력에 대한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가 가중치에 반영됐다. [사진=pixabay]

지반조사, 시간과 경비 만만치 않아

해상풍력이 높은 경제성을 갖췄다는 논리는 설왕설래 할 만한 이슈이지만 해상풍력을 육성해야 할 정부와 풍력업계의 염원이 만들어낸 결과라는 점에서 특별한 이견 없이 공청회가 마무리됐다.

육지에서 10km 떨어진 곳에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한다고 가정해보자. 우선 바람의 질 등 풍황자원 검증을 위해 해상기상탑을 설치하고 데이터 수집에 짧게는 1년 이상의 시간이 할애된다. 해양 생태계를 비롯해 타워설치 등 제반사항의 확인을 위해 해양물리탐사, 해저지반 조사, 수중지표조사 등 지반조사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된다. 특히 시추기를 통해 구멍을 뚫고 샘플을 채취하는 지반조사의 경우 상황에 따라 수면아래 100m가량 시추장비가 들어가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대상 후보지 한 개 지점의 샘플 채취 등 지반조사에만 평균 3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데 날씨 등 변수가 발생하면 기약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사업 리스크가 큰 해상풍력인 탓에 불확실성을 줄여나가려면 이런 과정이 수없이 반복된다는 점도 고충이다. 또 평균 배로 2~3시간가량 이동해 현장에서 이뤄지는 일이라는 점 역시 해상풍력이 만만치 않은 프로젝트라는 사실을 잘 말해준다.

업계에서는 중소기업의 해상풍력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기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사진=pixabay]
업계에서는 중소기업의 해상풍력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기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사진=pixabay]

해상풍력, 대기업과 발전사가 주인공 될 수 있어

15년 이상 풍력에만 집중해온 업체 관계자는 “해상풍력이 풍력 보급 확대의 솔루션이 될 수 있겠지만 현재 회사차원에서 해상풍력 시장을 주목하고 있지는 않다”면서 “예타 단계도 그렇고, 준비 과정에서 작업선을 빌리는 비용 등 제반비용이 상상을 초월하고, 사업 대상지에 대한 검토가 끝나더라도 발전사업 허가와 군전파영향평가, 해상교통안전진단과 사전재해영향성 검토, 환경영향평가 등 인허가 등의 마무리, 그리고 계통에 PF까지 쉽지 않은 일이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의 해상풍력은 앞선 기업 관계자의 말처럼 쉽지 않은 일이다. 일면 그림의 떡이 될 가능성도 농후하다. 육상풍력에 비해 2~3배에 이르는 건설비용, 대규모 사업을 무리 없이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사업자의 프로젝트 수행능력도 관건이 된다. 해상풍력에 이처럼 경험과 안정적 수행을 담보할만한 민간 기업이 얼마나 될 수 있을 것인가도 의문이다. 때문에 현재 대규모 해상풍력에 발을 담그고 있는 발전사나 대기업이 주인공이 될 여지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 풍력 중소기업 관계자는 “시장 진입이 활발할 때는 역량이 안 되는 기업들이 들어와 불신이 팽배해지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면서 “이런 과오가 있었지만 연계거리가 멀어질수록 가중치가 높은 점은 단편적으로 보면 합리적이고, 상식적이지만 실제 15km 이상의 프로젝트를 중소기업에서 소화할 수 있느냐는 별개의 문제다”고 소개하고 “앞으로 발전사나 대기업 위주의 프로젝트가 집중되고, 중소기업은 이런 프로젝트의 하청의 하청으로 만족해야 할지도 모를 일이다”고 겸연쩍은 반응을 보였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