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양철승 기자] 지난 5월 정부가 발표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의 후속조치로 ‘국가신약개발연구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함께 범부처 공동사업으로 기획 중인 국가신약개발연구사업에 대한 각계의 의견 수렴을 위해 7월 2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했다.
![2021년부터 10년간 3개 정부부처가 참여하는 신약개발 전 주기 통합 지원 범부처 R&D 사업이 추진된다. 사진은 종근당 연구원들이 신약 개발 연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종근당]](/news/photo/201907/33492_27493_350.jpg)
이번 프로젝트는 정부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7년간 막대한 연구비를 지원한 범부처신약개발사업 등 다양한 글로벌 신약개발지원사업이 일몰 또는 종료를 앞두고 있어 기존 사업들을 통해 축적된 신약 개발 역량을 한 단계 발전시키고자 마련됐다.
현재 정부는 기존 신약개발 지원 사업을 통합·연계해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국민 건강 증진 도모를 목적으로 2021년부터 10년간 국가신약개발지원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범부처 통합 지원을 통해 기존의 부처별 개별 지원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고, 기초연구부터 사업화까지 신약개발 전 주기를 지원함으로써 글로벌 신약개발의 실용화 성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창출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세부 지원 부문은 크게 4가지다. 우수한 초기파이프라인의 지속적 공급을 목표로 한 신약 기반 확충 연구, 기초연구성과가 임상단계로 원활히 진입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신약 연구개발(R&D) 생태계 구축 연구, 기업중심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연구를 지원하는 신약 임상개발, 그리고 신약개발 주요 단계별 장벽 해소를 위한 신약 R&D 사업화 지원이 그것이다.
정부는 공청회에서 제시된 산학연 전문가와 유관기관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사업기획을 보완한 뒤 8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중개연구를 활성화하여 4차산업혁명시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