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기창 기자]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 부흥에 팔을 걷었다. 보건복지부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5개 부처와 식품의약품안전처 금융위원회, 특허청 등 3개 기관은 5월 22일 충청북도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C&V센터에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정부가 충청북도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C&V센터에서 ‘바이오 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청와대]](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05/32149_25464_514.jpeg)
이날 행사에는 관련 부처 관계자와 이시종 충북도지사, 지역 국회의원과 기업인 등 약 300여 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앞으로 신약과 신의료기술 연구개발에 활용할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한 혁신 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2025년까지 연간 4조원 이상의 정부 R&D 예산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는 의약품과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산업이 미래 성장 가능성과 고용효과가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는 5대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핵심으로 제시했다. 국가 바이오, 신약 후보물질, 바이오 특허, 공공기관 부문에서 빅데이터를 만들 예정이며, 데이터 중심 병원도 지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원인불명 유전질환에 대한 원인 규명과 맞춤형 의료 발전을 이루겠다는 방침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충청북도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C&V센터에서 ‘바이오 헬스 산업 혁신전략’ 발표에 참여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05/32149_25465_554.jpeg)
또한 구축한 데이터가 외부 유출 없이 안전하게 활용되도록 표준 플랫폼을 마련하는 사업도 조만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막대한 개발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신약개발과정을 효율화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정부 측은 “인공지능을 통해 신약을 개발할 경우 비용과 시간을 25~50%까지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도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연구와 빅데이터 활용 등 제약과 바이오 분야에 꼭 필요한 전문인력을 키워 바이오헬스 선도국가로의 꿈을 이뤄낼 것이다. 중견기업과 중소·벤처기업이 산업의 주역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기술 개발부터 인허가, 생산, 시장 출시까지 성장 전 주기에 걸쳐 혁신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정부 5개 부처,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위해 손잡다
- 캠브리지컨설턴트, 인공지능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소개
- KT, 레몬헬스케어와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병원 서비스 본격 추진
- 문재인 대통령, ‘5.18 기념사’ 통해 광주시 4차 산업 육성 지원 밝혀
- 문재인 정부 출범 2년, '속도감' 있는 4차 산업 정책 실행 필요해
- “4차 산업 전문가 되자!”…‘제조로봇’ 및 ‘머신비전’ 마스터 과정 개설 운영
-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개편 완료
- 다쏘시스템, 한국 사회 궁극적 변화 이끈다…‘3D 익스피리언스 이그제큐티브 센터’ 오픈
- SCM생명과학, 한독과 40억원 지분투자 유치 및 줄기세포치료제 라이선스 계약 체결
- 중소벤처기업부·고용노동부, 스마트공장 인력 양성 나선다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K-Champ lab ‘두잉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최종 선정
- SCM생명과학, 티앤알바이오팹과 조직재생 및 치료용 제품 공동 연구개발 협약
- ‘軍에도 4차 산업혁명’ 문재인 정부,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한다
- 4차 산업혁명은 진행 중… 지난해 스마트공장 2,900개 증가
- 최성원 광동제약 부회장, 제약명가 재도약의 발판은 ‘시스템 혁신’과 ‘체질개선’
- 보건부, 신약개발 분야 정부부처 칸막이 없앤다!...범부처 전 주기 통합 지원
- 보건부, 한의약 산업 발전 정책에 현장 목소리 반영한다
- ‘세법 개정’ 문재인 정부, 기업 투자 활성화 본격화
- 과기정통부, ‘ICT 혁신 기업 기술 개발 지원 사업’ 수행 과제 최종 선정
- AI 기술로 혁신 신약 개발 가능성 높인다...한국파스퇴르연구소-카이팜 연구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