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전지 단가 절반으로... 산업부, 16대 에너지기술개발 10년 대계 발표
  • 김관모 기자
  • 승인 2019.11.18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공청회...차세대 기술 투자 앞당긴다

[인더스트리뉴스 김관모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이하 산업부)가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의 10년 청사진을 밝히고, 16대 에너지 중점기술 R&D 전략을 내놓았다. 정부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서 차세대 기술을 조기 상용화하고 국산화를 높이는데 집중하겠다는 목표다.

16개 에너지 중점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에너지기술개발 10개년 계획이 발표됐다. 산업부는 12월까지 계획을 최종 마무리지을 예정이다.[사진=dreamstime]
16개 에너지 중점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에너지기술개발 10개년 계획이 발표됐다. 산업부는 12월까지 계획을 최종 마무리지을 예정이다. [사진=dreamstime]

산업부는 11월 18일 오후 2시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및 '에너지 기술개발 로드맵'에 대한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은 산업부가 2019년부터 2028년까지 10년간 에너지기술개발 비전과 목표, R&D 투자전략, 제도 운영방안 등을 제시하는 기본계획이다.

16대 에너지 중점기술 분야는 △에너지신산업(태양광, 풍력, 수소, 에너지신소재), △깨끗·안전한 에너지 공급(원자력, 청정발전, 에너지안전, 자원개발, 순환자원), △고효율저소비 구조 혁신(산업효율, 건물효율, 수송효율, 빅데이터), △분산형 에너지 확산(지능형전력방, 에너지저장, 사이버보안) 등 4가지 중점과제로 나누어 추진된다.

에너지신산업 기술 선도와 국산화에 집중

먼저 태양광의 경우, 산업부는 태양전지 개발을 강화해 모듈의 효율성을 24%까지 높이는 한편, 단가를 2배 이상 저렴하게 낮출 계획이다. 또한, 차세대 태양전지인 다중접합 태양전지 셀모듈을 2028년까지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도 잡았다.

해상풍력의 경우 고부가가치 핵심부품을 국산화하고, 부유식풍력 기술도 향상시키는데 집중한다.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그린수소를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고효율 수전해 기술을 확보하고, 연료전지차를 열차나 선박 등 다양한 분야에 확산시킬 방침이다.

또한, 연료전지 분리판이나 원자력 차폐소재처럼 수입의존도가 높은 에너지신소재에 대해서는 하루빨리 국산화가 이뤄지도록 기업들을 지원한다.

안전성과 환경성이 최우선

청정발전을 위해서는 2030년까지 미세먼지를 지금보다 90% 이상 저감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도 25%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원자력의 경우 2022년까지 17개 미자립 해체기술을 확보해 고리 1호기 해체 후인 2030년부터 상용화한다.

또한, 산업부는 에너지안전을 위해서 가스, 송배전 등 에너지시설의 사전 위험예측과 실시간 진단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자원개발과 관련해서는 태양광이나 연료전지, ESS(에너지저장시스템)의 모듈과 부품을 리파워링하고 유가자원 회수 기술을 상용화한다.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의 16대 에너지 중점기술 분야[자료=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의 16대 에너지 중점기술 분야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제로를 넘어서 플러스에너지로

건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산업부는 제로에너지를 넘어서 건물에서 에너지를 자립해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할 방침이다.

산업 효율와 관련해서는 2030년까지 FEMS(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공장을 2만개 보급할 계획이다. 수송 효율의 경우에는 전기차 1회 충전 주행거리 현재 400km에서 800km까지 높이고, 연료전지차 내구성도 지금의 5배까지 올리기 위해 지원한다.

빅데이터와 관련해서는 에너지 빅데이터 공급 및 소비를 촉진하고 기기정보 플랫폼도 제공할 예정이다.

다변화와 분산형으로 에너지 안정 추구

한편, 지능형 전력망 사업을 위해 신재생 수용성 확대 직류 송배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에너지커뮤니티 기반의 프로슈머와 서비스를 확대한다.

에너지 저장을 위해서는 2021년까지 ESS 안전성 검증센터를 구축해 화재사고를 예방하고, 해상 및 군수용, EV 고속충전 등 애플리케이션 다변화도 진행한다.

특히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사이버 보안과 관련해서는 2030년까지 5G/6G 기반의 암호 시스템을 개발하고, 국가 사이버보안 컨트롤센터도 만들 계획이다.

한편, 산업부는 성공적인 개발과 확산을 위해50개 추진과제를 별도로 도출해 시행하기로 했다. 또한, 이번 기본계획이 산업적인 파급효과가 큰만큼 대형·중장기 플래그쉽 프로젝트로 추진하고, 기업이 직접 실증하고 검증, 구매하는 수요연계형 R&D도 강화한다.

이날 공청회에는 산·학·연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 300여명이 참석해 패널토의 및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산업부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반영해 오는 12월 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심의를 거쳐서 개발계획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