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갈등 파고 넘고 기술수준 고도화 필요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1.27 11: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6년 9월 국내 최초의 해상풍력단지가 상업운전을 시작했고, 지난해에는 서남해 2.5GW 해상풍력 사업의 실증단지 공사가 시작됐다. 최근 완도군은 3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600MW급 해상풍력 개발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해상풍력이 재생에너지 산업의 중심으로 진입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터빈 등 주력기종 대형화, 비용 하락  

[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지난 연말 최대전력수요를 100.5GW로 하고, 신재생에너지와 LNG로 에너지 전환을 목표하는 8차전력수급기본계획과, 2030년까지 신규 설비 용량의 95% 이상을 태양광,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20% 확대하겠다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의 발표로 태양광과 함께 풍력산업의 성장이 예고되고 있다.

탐라해상풍력발전 단지 완공으로 대한민국 풍력발전 기술이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하게 됐다. [사진=한국남동발전]
탐라해상풍력발전 단지 완공으로 대한민국 풍력발전 기술이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하게 됐다. [사진=한국남동발전]

3020 계획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설비용량이 63.8GW까지 확대될 예정인데, 48.7GW에 달하는 신규 설비용량이 태양광과 풍력으로 채워지고, 이 중 16.5GW 규모를 풍력이 담당하게 된다. 정부가 이처럼 풍력발전 규모를 확대할수 있었던 배경에는 해상풍력의 성장에 기대를 걸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해상풍력을 13GW 수준으로 확대시키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적인 추세에 이른 해상풍력
세계적인 추세도 이와 다르지 않다. 미국 에너지부(DOE)는 “해상풍력이 아직 태동기에 있지만 해상풍력발전 비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면서 “상업적 목적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구축은 더욱 진전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실제 미국에서는 미국 최초의 해상풍력 발전단지인 블록 아일랜드(Block Island) 풍력단지가 17,000 가구에 공급할 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이 밖에 설비용량 기준으로 23,735MW에 달하는 다수의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고, 북대서양에 집중되던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이 5대호 연안과 서부해안, 멀게는 하와이에서도 추진되고 있다.

주력 기종의 대형화도 눈길을 끈다. 기존 3~5MW가 주류를 형성하던 규모가 최근 터빈 용량이 커지면서 9MW, 로터 직경 164m짜리가 등장하고 있다. 해저의 기초 깊이도 60m에 이른다. 비용을 줄이면서 효율은 높이려는 대형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는 모습이다.

세계풍력발전협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세계 풍력발전설비는 486GW이고, 최근 5년간 연평균 15%씩 증가하고 있다. 해상풍력설비는 증가속도가 더욱 빠르다. 연평균 29%씩 증가하고 있는 해상풍력은 현재까지 14.4GW에 누적설비량을 보이고 있다.

최근 5년 사이에 해상풍력발전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영국 Burbo Bank Extension의 경우 8MW 기종 32기가 설치 중에 있는데, 앞선 미국의 경우처럼 6~8MW 급의 대형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양상도 목격할 수 있다.

해상풍력은 현재 영국이 5.1GW를 구축해 가장 많은 규모의 설치량을 보이고, 이어 독일이 4.1GW, 중국과 덴마크, 네덜란드가 1GW 이상의 실적을 보이며, 뒤를 잇고 있다.

해상풍력발전이 재생에너지 3020 목표달성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성산풍력단지 전경 [사진=한국남부발전]
해상풍력발전이 재생에너지 3020 목표달성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성산풍력단지 전경 [사진=한국남부발전]

기술격차와 주민 갈등 해결이 관건
세계가 이처럼 우리나라에 비해 해상풍력에서 선전하고 있는 이유는 크게 기술 수준이 고도화됐고, 지역민과의 갈등 해결을 위해 많은 성장통을 겪어왔다는 점이다. 한국풍력산업협회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규제와 민원 등이 앞으로도 풍력업계의 화두가 될 것이고, 덴마크와 네덜란드 등 풍력 선진국들도 수용성, 사업자 관계 정립에 20년이 소요됐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연구원이 2016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풍력발전 기술수준은 최고수준을 보유한 유럽에 비해 66.3% 수준에 그치고, 기술격차는 6.8년에 이른다. 신재생에너지가 75.9%, 4.37년 기술격차인 것과 비교해 세계적 수준에 이르기 위해서는 R&D에 대한 투자가 집중되고,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기술수준이 미흡과 더불어, 사업자와 주민간 갈등이 심화로 프로젝트가 지연되는 일이 반복되는 측면이 있다는 의견 제기도 있다.

광운대학교 송승호 교수는 “지난 해상풍력 발전단지 구축과정을 보면 주민 수용성, 인허가, 경제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참여 주체인 터빈 제조사의 핵심 기술의 역량이 부족하고, 소관부처인 해수부와, 환경부, 국방부 등 인허가와 검토사항 등도 많아 사업자의 고충이 발생하고, 어업활동 등 생계에 피해를 줘 사업자와 주민간 갈등이 심화된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송 교수는 지난 국회 신재생에너지포럼에서 마련한 관련 세미나에서 “풍력산업 침체의 핵심 원인은 정책 신뢰성과 철저한 실행계획 수립이 미흡한데 기인한다”면서 “사업지연과 기자재 업체들의 사업 철수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는 주민과 지자체에게 이익을 공유하고, 계획 입지제도 활용과 같은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송 교수의 말 그대로인 것이 2년간 6,500억원을 투입해 제주시 한동·평대리 해역에 105MW규모 해상풍력발전 시설을 설치하는 제주에너지공사의 한동·평대 해상풍력발전 사업이 주민수용성을 이유로 도의회의 승인을 얻지 못해 좌초 위기에 있는 상황이다.

반면, 완도군 금일읍 남쪽지역 해상에 추진하고 있는 해상풍력 개발사업은 사업자인 한국남동발전과 완도군이 수산업과 공존하는 해상풍력 개발사업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설명회 개최, 예비타당성 조사 등 구체적인 사업 추진 일정이 제시되는 등 발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안정적인 해상풍력 발전단지 사업에 대한 열쇠로 주민, 지자체가 공존하는 프로젝트가 추진되어야 한다는 단순하지만 명쾌한 솔루션이 제시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4일 세종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차세대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부유식 해상풍력 등의 R&D 로드맵을 수립하고 서남해 해상풍력 시범사업과 실증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을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