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와 1위 간편결제 사업자 네이버파이낸셜이 오는 27일 합병 계획을 공식 발표한다. 두 기업의 결합으로 약 20조원 규모의 ‘메가 핀테크’ 플랫폼이 탄생할 전망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은 26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의 합병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이어 27일 네이버 제2사옥 ‘네이버 1784’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열어 합병 비전과 통합 로드맵을 공개한다.
기자회견에는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송치형 두나무 회장을 비롯해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양사 핵심 경영진이 총출동할 예정이다.
합병은 두나무 주식을 네이버파이낸셜 신주로 교환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절차가 마무리되면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의 100% 자회사로 편입된다.
시장에서는 두나무 기업가치를 약 15조원, 네이버파이낸셜을 약 5조원 수준으로 추정하며 두나무 1주당 네이버파이낸셜 3주 교환비율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다만 양사는 “확정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해당 비율이 적용될 경우 송치형 회장과 김형년 부회장 등 두나무 주요 주주가 통합 법인 지분 약 30%를 확보해 최대주주에 오르게 된다.
반면 네이버파이낸셜의 기존 최대주주인 네이버의 지분은 약 69%에서 17% 안팎으로 축소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공정거래법상 계열사 편입 요건 등이 문제로 제기될 가능성이 있어, 송 회장 측이 의결권 일부를 네이버에 위임하는 방식 등 네이버가 실질적 지배력을 유지하는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합병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 간편결제 인프라, 네이버 플랫폼을 결합한 ‘웹3 금융 생태계’ 구축과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등을 새로운 성장 분야로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토큰증권(STO) 등 기존 금융과 가상자산을 잇는 신규 사업 모델도 언급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넘어야 할 산도 적지 않다. 이사회 결의 후에는 주주총회 특별결의가 필요하다. 두나무는 송 회장과 김 부회장 등 경영진 지분이 약 40% 수준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카카오인베스트먼트·우리기술투자·한화투자증권 등 주요 주주와 소액주주 동의 확보가 관건으로 꼽힌다.
규제 심사도 중요한 변수로 꼽힌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업계 1위 간편결제와 1위 가상자산 거래소 결합에 따른 독과점 우려를 집중 검토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역시 가상자산 변동성이 네이버페이 등 기존 결제 시스템에 전이될 가능성, 즉 시스템 리스크 확산 여부를 면밀히 들여다볼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를 자회사로 편입하는 과정이 기존 ‘금가분리’ 규제와 충돌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글로벌 빅테크의 금융 사업 확장 속에서 국내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평가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