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협동로봇의 글로벌 선두주자인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이 14일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포스코타워 역삼 3층 이벤트홀에서 ‘협동로봇 혁신 포럼: Built to Do More’를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는 지난달 출시된 유니버설 로봇의 신제품 UR16e에 대한 소개와 그 적용 사례가 중점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UR16e는 현존하는 협동로봇 중 가장 무거운 무게인 16kg을 다룰 수 있는 협동로봇이다. 이번 포럼에서 UR16e의 적용 사례가 첫 공개된다.
포럼은 총 6개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순서로 유니버설로봇코리아의 김병호 부장이 협동로봇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김병호 부장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산업 현장 속에서 협동로봇만이 가질 수 있는 특장점에 대해 강조할 예정이다.
이어 유니버설로봇코리아 김영우 과장이 신제품 UR16e를 소개하고 적용 사례에 대해 발표한다. UR16e는 더욱 강력해진 힘뿐만 아니라 도달 거리 900mm, +/- 0.05mm의 반복성을 지니고 있다. 견고하고 높은 신뢰도 및 정밀도를 지닌 UR16e는 다중 부품 처리를 포함한 무거운 재료를 취급하는 공정이나 CNC 머신 텐딩 공정 등의 자동화에 이상적이다.
또한 유니버설로봇코리아 성황현 과장이 유니버설로봇의 ‘앱스토어’ 격인 UR+에 대해서 발표한다. UR+는 유니버설로봇에 맞는 로봇 액세서리와 소프트웨어가 전시돼 있는 온라인 쇼룸이다. 발표를 통해 유니버설로봇과 함께 활용 가능한 제품들에 대한 적용 사례와 활용 방법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이날 포럼에는 유니버설 로봇 파트너사도 참여한다. 유니버설 로봇 공식 대리점 중 하나인 에이치알티 시스템(HRT SYSTEM)의 김만구 대표가 ‘협동로봇 실제 기업 적용사례’를, 에벨릭스(EWELLIX)의 이성원 대표는 자사의 UR+ 제품인 슬라이드킷(Slidekit)과 리프트킷(Liftkit)을 소개하고, 짐머(Zimmer)의 맹성현 본부장은 자사 UR+ 제품인 인간-로봇-협동(HRC-03) 시리즈를 소개한다. 파트너 사들의 발표를 통해 더 폭 넓은 유니버설 로봇의 실적용 사례에 대해 들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니버설로봇코리아 김해랑 사장은 “유니버설 로봇은 협동로봇 글로벌 리더로서 세계 협동로봇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국내에 협동로봇의 가능성을 알리고 업계 전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진행되는 것”이라며, “올해 신제품 UR16e 출시를 통해 국내 제조업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유니버설 로봇의 협동로봇 포럼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참가 신청은 유니버설로봇 포럼 웹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자일링스, 바이티스 무료 다운로드 시작… 비전문가도 애플리케이션 가속 구현 가능해져
- 진코퍼레이션, 4차 산업혁명의 미래 선보인다
- 그리드원, SGI서울보증에 RPA 프로젝트 구축
- 클라우데라, 'CDP' 통해 데이터를 통한 가치 창출에 주력할 것
- LG U+, 카카오모빌리티와 ‘U+카카오내비’ 서비스 출시
- 비젠트로, ‘베트남 제조산업 박람회 2019’ 참가… 베트남 진출 초석 다져
- 지멘스, 소프트웨어 SaaS 확장 제공으로 합리적 가격에 이용 가능해져
- 슈나이더일렉트릭, 스마트시티 위한 혁신적 솔루션과 아이디어 찾는다
- ‘금속 3D 프린터 시장’에 던진 ‘윈포시스’의 출사표, “직원들과 FUN하게 성장하겠다”
- 한정애 의원,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위한 화학물질관리법 개정안 발의
- 7,560대 제조로봇 선도 보급… 내년 500대 보급 예상
- [칼럼] 유니버설로봇, 미래 제조산업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할 ‘협동로봇’
- 세계에서 가장 큰 협동로봇 허브, 덴마크에 설립된다
- 유니버설 로봇, 쉽고 빠른 자동화 구축 돕는 ‘UR+ 애플리케이션 키트’ 20종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