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최근 자동차 제조사가 첨단 계기 패널 및 인포테인먼트, 헤드업 디스플레이, 센터 디스플레이,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스마트미러 애플리케이션 등을 탑재하면서 차량 한 대당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수가 증가는 추세다.

스크린에 필요한 전원공급 회로는 제한된 차량 내부 공간에서 수많은 전자시스템과 자리를 경쟁해야 해 복잡성을 고려해야 한다.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최헌정)는 이 같은 트렌드를 고려해 4출력 자동차 디스플레이 전력관리 집적회로(IC) ‘MAX16923’을 출시했다.
자동차 전자시스템 설계자들은 MAX16923을 워치독(watchdog) 타이머와 함께 사용해 차량에 더 많은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수 있게 됐다.
MAX16923은 4개 파워레일과 함께 높은 집적성을 제공하며 하나의 IC에 고전압·저전압 벅 컨버터, 고전압·저전압 LDO, 전자파간섭(EMI) 완화, 워치독 타이머를 탑재했다. 고도의 집적성 덕분에 기존 4~5개 IC로 구성해야 했던 자동차 전력 솔루션을 큰 온도 증가 없이 하나의 칩으로 구현해 복잡성을 줄여준다.
특히, 전력 솔루션 크기를 경쟁사 대비 최대 50%까지 줄이고 PCB 크기와 부품(BOM) 비용도 낮춰준다. 이를 통해 자동차 설계자들은 차량 한 대당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수를 2~5개 이상 늘릴 수 있다.
자동차 전력관리 IC MAX16923은 EMI 완화, 워치독 타이머로 각 디스플레이의 신뢰도를 높여준다. 또한 확산 스펙트럼, 슬루율(slew-rate) 제어 스위칭, 프로그래밍 가능한 스위칭 주파수로 디스플레이의 저소음 신호에 대한 EMI 간섭을 줄여준다.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trategy Analytics) 오토모티브 인포테인먼트 텔레매틱스 서비스 그렉 바시흐(Greg Basich) 이사는 “차량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수와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디스플레이 분야는 향후 5년 간 견고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며, “일부 프리미엄급 차량은 디스플레이를 10여개 장착할 수 있어 설계자들은 제한된 차량 내부 공간에 탑재되는 전자 기기가 늘어나는 상황을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오토모티브 사업부 스즈캉 이시엔(Szukang Hsien) 비즈니스 총괄은 “MAX16923은 각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IC 개수를 줄임으로써 설계 복잡성과 보드 크기 문제를 해결한다”며 “고도로 집적화 된 이 전력 솔루션은 12.3인치 이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전력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밝혔다.
- NXP,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세서 S32G 발표
- 설 연휴 무상 시승이벤트! 현대차 6박7일, 기아차 5박6일간 대여
- 에스오에스랩, 자율주행용 라이다 개발 기업 누적 자금 200억 돌파
- 현대·기아차, 2019년 719만3천대 판매해
- 현대차그룹, 2025년까지 전기차 전용 모델 11개 개발… 전동화 시장 리더될 것
- 현대차 정몽구 재단 장학생 11명, SCI급 논문 제1저자로 게재
-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 스마트팩토리 ‘AGV’ 적용되는 GTR V시리즈 지속 개발
- 현대차, 고성능 감성 느낄 수 있는 ‘N 퍼포먼스 파츠’ 출시
- 현대·기아차, ‘고객안전우선’ 설 특별 무상 점검 서비스 실시
- 키사이트,‘오토모티브 월드 2020’에서 첨단 오토모티브 솔루션 소개
- 맥심, 고속 자율주행 차량용 초소형 라이더 IC 3종 출시
- 맥심, 낮은 복잡성·최저 비용의 원격 센서 솔루션 ‘DS28E18’ 출시
- 맥심, 고정확도·저전력 에센셜 아날로그 온도 센서 IC 2종 출시
- 맥심, 자동차용 초소형 동작 감지 센서 ‘MAX25205’ 출시
- 맥심, 웨어러블 및 IoT에 이상적인 초소형 태양광 충전 솔루션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