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한화컴파운드가 해양 폐기물을 재활용한 친환경 소재를 삼성전자에 공급한다. 수십년간 축적한 소재 가공기술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고, 해양 생태계도 보호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한화솔루션의 100% 자회사인 한화컴파운드는 삼성전자 최신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 S22’, ‘갤럭시 북2 프로', ‘갤럭시 탭 S8' 시리즈에 해양 생태계를 교란하는 폐(廢)어망을 재활용한 PA(폴리아미드) 소재가 적용된다고 3일 밝혔다.
이 소재는 갤럭시 S22 시리즈 제품 측면에 달린 볼륨, 전원 버튼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키 브래킷(key bracket)’과 갤럭시 S22 울트라 모델 내부 ‘S펜’ 커버,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의 터치패드 홀더 등에 적용됐다.
‘나일론’으로도 불리는 폴리아미드로 제작된 폐어망은 장시간 해수와 자외선에 노출되면서 손상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한화컴파운드 연구진과 삼성전자는 해양에서 수집한 폐어망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배합 기술을 적용해 작은 알갱이 형태의 펠렛(Pellet) 양산에 성공했다. 이후 국제 인증기관인 UL 인증(Ocean Bound Plastic, OBP)을 획득해 전자 기기에 사용이 가능한 내구성 및 친환경성을 입증했다. OBP는 해양 인근의 플라스틱을 수거해 제작한 제품에 주는 인증으로 해양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64만t 이상 버려지는 폐어망은 바다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대표적인 해양 폐기물이다. 한화컴파운드는 이번 소재 양산으로 친환경 제품 생산뿐만 아니라 해양 생물 보호에도 기여하게 됐다.
한화컴파운드 임상일 대표는 “해양 폐기물을 재활용한 친환경 소재 연구개발(R&D)을 강화 중”이라며, “전기전자 및 전장 부품, 섬유 소재까지 공급을 확대해 지속가능한 친환경 플라스틱 솔루션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한화솔루션, 무사고·무재해 사업장실현 목표 선언
- 한화솔루션, 기후변화 대응 우수기업 선정… CDP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 수상
- 한화큐셀 이구영 대표, 신재생에너지협회 14대 회장으로 취임
- 한국무역보험공사, 스페인 태양광 프로젝트에 1,100억원 금융 지원
- 한화큐셀 컨소시엄, 차세대 셀 기반 고효율 태양광 모듈 개발 나선다
- 서부발전, 유럽 태양광시장 첫 진출…스페인 157MW 로사태양광 착수
- 한화큐셀의 ‘저탄소 모듈’ 사용한 프랑스 55MW 태양광발전소, 본격 가동
- 한화솔루션, 美 클린 폴리실리콘 확보에 1,900억 투자
- 한화솔루션, ‘탄소 저장고’ 국립공원 지킨다
- 삼성전자의 태양광 충전 리모컨, 美 환경보호청 ‘SMM 어워드’ 수상
- ‘디자인 NO.1’ 삼성전자, ‘iF 디자인 어워드 2022’서 최다 수상 영예
- ‘분기 최대 매출’ 한화솔루션, 영업이익 1,579억원 기록
- 한화시스템, 모두의연구소와 손잡고 ‘AI 인재’ 육성 나선다
- 한화그룹, “글로벌 경영 환경 위기 요인 상존…선제적 대응책 마련”
- 한화솔루션, 글로벌 투자사와 美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스타트업 ‘노보룹’에 270억원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