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경기도가 추진 중인 산학협력 사업이 중소기업의 매출 신장과 고용 창출은 물론 개발기간 단축, 공정개선, 원가절감 등 지역산업 혁신성장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11월 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도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 성과분석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최근 3년(2018년~2021년) 동안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종료된 144개 과제와 여기에 참여한 257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매출 향상과 고용 창출을 비롯한 경제적·기술적·사회적 성과를 분석했다.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 매출 및 고용 주요성과 [자료=경기도]](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11/47639_50118_3329.jpg)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도 지원금 130억원을 투입한 결과 매출 384억원과 일자리 281개를 창출했다. 지원금 1억원당 매출이 2억 9,000만원, 고용이 2.15명 새롭게 발생한 셈이다. 이 밖에 특허 출원 1.37건, 등록 0.85건, 논문 1.67편 등의 성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기간을 크게 단축했다. 도내 중소기업 중 부설 연구소를 보유한 기업은 1%밖에 되지 않는 등 상당수 중소기업이 연구전담 인력과 시설 부족으로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협력연구센터가 보유한 교수진과 석·박사 인력과 시설을 활용해 신기술 테스트와 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개발기간 단축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됐다.
대표적인 사례로 용인의 의료용품 제조업체 티앤엘은 피부에 부착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신체 움직임에도 안정적으로 붙어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어려움을 겪다가, 지역협력연구센터의 지원으로 폴리이미드 기판과 백금 같은 물질을 사용해 5년의 기술개발 기간을 단축시켰다.
또한 성남의 데이터 전문기업 데이터사이언스랩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공정을 개선하며 2억 8,000만원의 매출이 신장됐다. 화성의 초정밀 레이저 가공기업 21세기는 생산장비 주기관리와 생산제품 품질 개선으로 최대 3억원의 원가절감 효과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지역협력연구센터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타 중앙부처 연구개발 사업과 비교·분석한 결과, 특허 출원·등록과 논문은 가장 많았으며 매출·고용성과는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 사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최혜민 과학기술과장은 “경기도 산학협력 생태계 조성으로 지역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 매우 고무적”이라며, “지역협력연구센터 사업을 통해 도내 기업의 혁신역량을 향상시키고 부족한 이공계 인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1997년부터 시작한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사업은 연구개발(R&D) 원천기술 확보와 중소기업의 신기술ㆍ신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경기도의 대표적인 산학협력 사업으로 현재까지 1,821개 과제를 수행했으며 2,242개 기업이 참여했다. 현재 성균관대를 비롯한 10개 대학에 77개 기업이 참여해 각 센터에서 연구개발을 수행 중이다.
- 경기도, 2023년도 본예산 33조 7,790억원 편성…2022년 대비 1,754억원 증액
- 경기도·경기테크노파크, 25일 중소기업 기술교류회에서 유망기술 10건 공개
- 경기도, 샤넬‧롤렉스 등 체납자 압류동산 24일부터 온라인 전자공매
- 경기도, 24일까지 ‘우리동네 탄소중립 생활실천 공동체’ 모집
- 경기도농업기술원, ‘경기도 농업분야 탄소중립 추진 업무협의회’ 개최
- 경기도, 실습 중심 안전교육으로 ‘이륜차 배달노동자 안전 습관’ 키운다
- 경기도 내 중소기업 70%,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못 해”
- 경기도, ‘4연속 자이언트 스텝’ 대응 방안 모색…고금리 지속에 따른 민생경제 심층 진단
- 경기도민 10명 중 7명, “디지털 트윈 기술, 행정서비스 분야 도입해야”
- 경기도‧국토부, 판교 스타트업 투자교류회 개최…국내 투자자와 교류·소통의 장 제공
- 김동연 경기도지사, 영국 플라스틱에너지 카를로스 몬레알 CEO와 투자 상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