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현대건설, 현대글로비스 등 현대차그룹 6개사가 ‘2022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이하 DJSI)’ 평가에서 ‘월드(World) 지수’에 편입되며 세계 최고 수준의 ESG 성과를 인정받았다.

DJSI는 세계 최대 금융정보 제공기관인 ‘S&P 다우존스 인덱스’와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 ‘S&P 글로벌 스위스 SA’가 매년 기업의 ESG 성과를 평가해 발표하는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지표다.
현대차그룹 6개사가 획득한 ‘DJSI 월드’는 평가 대상인 시가총액 기준 글로벌 2,500개 기업 중 상위 10%에 속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주어지는 최고 등급에 해당한다.
기아는 올해 처음으로 ‘DJSI 월드’에 편입됐으며 현대건설은 13년 연속, 현대제철은 5년 연속,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포함됐다.
각 분야에서는 현대자동차가 자동차 산업(Automobile)에서, 현대제철은 철강 산업(Steel)에서 글로벌 전체 1위로 평가받았으며, 현대건설은 건설 산업(Construction) 분야에서 유일하게 13년 연속 ‘DJSI 월드’에 포함되며 지속가능경영을 비롯한 기업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계열사별로는 △현대자동차는 전략적 인력계획 수립 및 탄소배출과 용수사용 저감 △기아는 환경성과 개선 및 인적자원 관리 △현대모비스는 탄소중립 이행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고도화 △현대제철은 공급망 리스크 관리 및 사이버 보안 프로세스 구축 △현대건설은 탄소중립 선언 및 환경정책 제정 △현대글로비스는 고객관계 관리 및 기업 사회공헌 전략 등을 전년 대비 개선 성과로 인정받았다.
또한 6개사는 △탄소배출 저감 △폐기물 재활용·수자원 관리 △기업 사회공헌 전략 부문에서 공통적으로 각 산업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점수로 평가받기도 했다.
이는 각 계열사별로 추진한 △ESG 중점 전략 과제 선정 및 추진 △탄소배출·폐기물·용수 등 주요 환경성과 관리체계 강화 △UN 지속가능발전목표(UN SDGs) 연계 사회공헌 활동 진행 및 성과관리(KPI) 강화 등과 같은 다각적인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현대차그룹은 올해 △그룹의 중장기 ESG 방향성과 성과를 담은 사회책임 메시지인 ‘The Right Move for the Right Future(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올바른 움직임)’ 공개 △환경 다양성·포용성 등 그룹 ESG 정책 개발 및 적용 △‘HMG ESG Index’ 개발을 통한 계열사 공통 성과관리 기준 수립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그룹 차원의 ESG 경영 수준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차그룹 6개사의 DJSI 월드 지수 편입은 그룹 차원의 ESG 중장기 방향성과 계열사별 적극적인 ESG 경영 활동을 인정받은 성과”라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ESG 경영 수준 향상 및 내재화를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현대자동차,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국내 판매 개시
- SK온-현대차, 2025년 이후 미국 내 전기차 공장에 배터리 공급
- 현대차그룹, 산업안전 전문 공익법인 산업안전상생재단 본격 운영
- 현대차‧기아, 카카오모빌리티와 함께 서울 강남 일대서 ‘로보라이드’ 시범 서비스 확대
- 현대자동차‧국회사무처, 국회 자율주행차 도입 업무협약 체결
- 현대차그룹, 독일 파운그룹 청소차‧중형트럭에 연료전지 탑재…3년간 약 1,100대 양산
- 이제 고속버스가 사무공간 시대! 현대차, 유니버스 모바일 오피스 출시
- SK, ‘전기차 기술’ 한자리에… CES서 배터리·소재·인프라 전시
- 제로원, 2023 CES서 국내 스타트업 혁신 기술 알린다
- 기아 스포티지, 영국 2023 왓 카 어워즈서 ‘올해의 패밀리 SUV’로 선정
- 현대차‧기아, CDP로부터 2022년 수자원 관리 부문 최고 등급 획득
-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 획득
- 현대차·기아, 딥엑스와 로봇 플랫폼용 ‘AI 반도체 탑재’ 협력
- 현대모비스, 인도네시아 배터리시스템 공장 착공… 내년 상반기 양산 목표
- 현대모비스, 폭스바겐 대규모 배터리시스템 수주… 전동화 사업 탄력
- 현대모비스, 충주에 배터리시스템 신공장 건설 첫 삽
- 현대건설, 재생e 전력중개사업 본격 추진… 산단 최초 온사이트 PPA 도입
- 4년새 5배 '껑충' 자동차운반선 용선료...국내 유일 자동차운반선사 현대글로비스 '방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