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한화솔루션이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인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와 글로벌 태양광 동맹을 맺는다. MS가 2030년 탄소중립 조기 달성을 목표로 추진 중인 에너지 전환 사업에 한화솔루션이 태양광 모듈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발전소 설계·시공까지 담당하기로 뜻을 모은 것이다.
![한화솔루션이 건설한 미국 텍사스주 태양광발전소 전경 [사진=한화솔루션]](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301/48638_51772_3913.jpg)
한화솔루션은 MS와 친환경에너지 확산과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한화솔루션은 이번 협약에 따라 MS와 공동으로 다양한 태양광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부터 MS가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s, PPA)을 체결할 태양광발전소에 2.5GW 이상의 모듈을 순차 공급한다. 태양광발전소 건설을 위한 설계·구매·시공(EPC)도 한화솔루션이 담당한다. 이처럼 글로벌 대형 ICT기업이 태양광 기업과 직접 협업을 통해 대규모 재생에너지를 조달하는 것은 업계 첫 사례이다.
MS 브래드 스미스 사장은 “안정적인 태양광에너지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은 글로벌 기업의 탄소저감 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적”이라면서, “미국 내에서 태양광 제품을 통합 생산하는 한화솔루션과 협업이 MS의 신속한 친환경에너지 전환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화솔루션은 연내에 기존 조지아주 달튼 공장의 연간 태양광 생산능력을 1.7GW에서 5.1GW로 늘리고, 내년 말까지 인근 카터스빌에 잉곳·웨이퍼·셀·모듈을 각각 연간 3.3GW씩 통합 생산하는 ‘솔라 허브’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이 ‘메이드 인 어메리카’ 제품 생산을 목표로 추진 중인 태양광 통합 생산 단지 ‘솔라 허브’의 조기 안착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는 이유다.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 이구영 대표는 “MS와 파트너십 체결은 한화솔루션이 태양광 모듈 제조 기업을 넘어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는 종합 에너지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의미”라면서, “내년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갈 솔라 허브를 기반으로 종합 에너지 선두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역량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 LG엔솔, 한화그룹과 손잡고 미국 배터리 시장 공략
- 바이든, 한화큐셀의 북미 최대 규모 투자 계획 발표에 ‘화색’… “美 경제에 대형호재”
- 한화솔루션, 북미 태양광 시장 공략 가속화…‘솔라 허브’ 구축에 3.2조 투자
- 한화큐셀, EU와 손잡고 차세대 태양광 셀 양산화 나선다
- 한화솔루션, 대규모 태양광 전력 확보… K-RE100 이행 가속화
- ‘탄소중립’ ‘에너지 안보’ 훈풍 탄 한화솔루션,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한화큐셀 美 조지아 태양광 공장 찾은 한덕수 국무총리, “재생에너지산업 지원할 것”
- ‘대한민국 태양광 1번지’ 한화큐셀 진천공장을 가다… 2026년 ‘탠덤셀’ 양산 목표
- 한화솔루션, 친환경 데이터센터·물류센터 개발 활성화로 국내 산업 RE100 달성 지원
- ‘태양광, 케미칼 효자 노릇’ 한화솔루션,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한화솔루션, 큐셀 글로벌 CTO로 GE 출신 다니엘 머펠드 박사 영입
-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유재열 전무, “재생에너지 기반 융합형 VPP 사업자로 나아갈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