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김관모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 이하 SKT)가 차세대 기술인 5G MEC(모바일 에지 컴퓨팅) 분야에서 글로벌 ‘초(超)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SKT는 아태 통신사 연합회 ‘브리지 얼라이언스(Bridge Alliance)’ 소속 통신사인 싱텔(싱가포르), 글로브(필리핀), 타이완모바일(대만), HKT(홍콩), PCCW글로벌(홍콩) 등 5개사와 함께 ‘글로벌 MEC TF’를 1월 13일 발족했다고 밝혔다. 초대 의장사는 SKT가 맡는다.
![앞줄 왼쪽부터 토마스 황(Thomas Huang) 타이완모바일 디지털 담당, 마리아 리(Maria Lee) HKT 이동통신 담당 임원, 하민용 SK텔레콤 경영기획2그룹장, 옹 걱 취(One Geok Chwee) 브리지얼라이언스 CEO, 이강원 SK텔레콤 클라우드랩스장, 루이스 라이(Louis Lai) 싱텔 임원, 찬 인 친(Chan Yeen Chin) 싱텔 임원 [사진=SK텔레콤]](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01/36400_31483_022.jpg)
이번 ‘글로벌 MEC TF’는 ‘브리지 얼라이언스’가 세계 최초 5G 상용화와 MEC 개발 ·구축에 성공한 SKT에 관련 기술 전수를 요청하고, 여러 통신사가 합류하며 결성됐다.
‘글로벌 MEC TF’에서 SKT는 싱텔, 글로브 등 연내 5G 상용화를 준비하는 회원사에게 5G, MEC 성과를 공유하는 한편 각사의 역량을 모아 MEC기술, 서비스를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경 없는 MEC플랫폼’을 위한 표준 규격 제정에도 주도적 역할을 한다.
MEC는 무선 데이터 전송 지름길을 만들어 △클라우드 게임,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 및 차량관제 등 초저지연 서비스의 성능을 높이는 5G 핵심 기술이다.
이번 초협력 체계 구축은 한국 기술 중심으로 아시아 5G MEC 생태계가 구축되고, 5G 기술 · 서비스를 관련 국가에 수출할 수 있는 활로가 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SKT는 5G 핵심 기술을 해외에 수출하기 위해 MEC 등을 솔루션 패키지로 구성하고 있다.
‘글로벌 MEC TF’ 첫 워크샵은 1월 13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을지로 SKT 사옥에서 열린다. 이번 워크샵에서 SKT는 약 30명의 TF 관계자들에게 사흘간 △SKT의 5G 전략, MEC기반 스마트 팩토리 사례 등을 발표하고 △미래 체험관 ‘티움’ 및 종로 ‘롤파크’에 구축된 5G클러스터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SKT 이강원 클라우드랩스장은 “연말까지 약 350개 통신사가 5G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어 우리회사와 5G와 MEC 협력을 하고 싶다는 요청도 크게 늘고 있다”며, “한국 중심으로 협력 체계가 커지며, 우리나라 5G · MEC 기술도 글로벌로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브리지 얼라이언스의 옹걱 취 (Ong Geok Chwee) CEO는 “이동통신 산업 역할이 연결만 제공하는 것이 아닌 인프라 기반의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장되고 있다”며, “이번 협력이 국경을 넘은 사업 추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SKT-싱클레어 합작회사, 미국 ATSC3.0 방송 사업 본격화
- SKT, 협업과 듀얼 OS 통해 ICT 복합기업으로... 사명과 브랜드 총체적 변화 예고
- SKT-바이톤, 한국형 차세대 전기차 출시 전방위 협력
- SK텔레콤, 마이크로소프트와 초협력 확대한다
- SKT-MS, ‘엑스클라우드’ 시범 서비스 대폭 확대
- 2020 LCK 개막, SKT ‘점프 VR’로 현장감 높인다
- SK텔레콤, 2019년 매출 17.7조, 영업이익 1조 기록
- SK텔레콤, 5G MEC 상용화 위해 글로벌 기업들과 초협력
- SK텔레콤, 전 세계 5G MEC 잇는 글로벌 표준 수립 나선다
- SK텔레콤-산업기술대, 중소기업 스마트 공장화 지원 위해 손잡다
- 스마트팩토리 비전 공유의 장 ‘5G SFA Arena Live’ 개최
- SKT-로보티즈, 5G/MEC 기반 자율주행 로봇으로 무인공장 시대 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