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한국동서발전(사장 박일준)은 2월 12일, 발전공기업 협력본부에서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표준협회와 ‘발전소 무인화 기술도입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은 로봇, 인공지능 등 4차 산업 주요기술을 발전소 운영기술과 융합해 개발한 무인화 기술을 발전소 운영에 도입하고 발전소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환경성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02/36871_32136_3440.jpeg)
이번 협약으로 △한국표준협회는 동서발전이 운영하고 있는 발전소를 대상으로 환경·안전 공정 진단을 통해 무인화 대상을 발굴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적용 가능한 서비스 로봇 현장실증을 지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기술개발이 필요한 대상을 제안하는 등 발전소 무인화 기술도입을 추진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했다.
동서발전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로봇(드론), 인공지능 등 4차 산업 기술을 도입해 발전소 위험구역 무인감시, 위험작업 로봇 대체, 신재생에너지 원격감시 등 발전소의 안전·환경관리 수준을 향상시켜 나갈 예정이다.
석탄취급설비의 경우 과거 CCTV를 설치해 근로자의 안전여부를 단순 모니터링하던 방식(1단계)을 개선하고 현재는 2단계로 각종 센서를 이용해 근로자의 위험요인을 자동감시하고 현장 근무자에게 위험을 알려 주고 있다.
더불어 2025년까지 무인화 기술을 도입해 낙탄 제거 등 위험 요인이 있는 개별 공정을 서비스 로봇으로 대체하고(3단계) 이후 석탄취급공정 전체를 무인화해 작업장 안전사고를 원천 차단할 예정이다(4단계).
동서발전 관계자는 “무인화 기술도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안전하고 깨끗한 전기 생산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중소벤처기업 육성 등 4차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동서발전은 안전·환경 최우선 경영방침에 따라 드론활용 태양광 모듈 건전성 진단(2018.12), 발전소용 AR 스마트글라스 개발(2019.6), 태양광 모듈 청소로봇 설치(2020.1), 컨베이어벨트 접근통제 시스템 구축(2020.2)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안전한 작업장 구현, 깨끗한 전기생산 등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
- 동서발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위한 소독·방역에 지원금 전달
- 동서발전, 소외계층과 함께 정월대보름 행사 진행
- 동서발전, 영농형 태양광에 LED 적용해 농작물 품질 및 생산량 향상 나서
- 동서발전, 청렴도 1등급 달성 위한 반부패·청렴 의지 선언식 시행
- 동서발전, 민간발전사 OCI SE에 설비 진단서비스 제공
- 동서발전, ‘2020년 제1차 사회공헌위원회’ 개최
- 한국동서발전, 현장 중심 발전운영 솔루션 자체개발 착수
- 동서발전, 데이터경제 활성화 위해 한전과 MOU 체결
- 동서발전, ‘코로나19’ 확산 대비해 비상대응 모의훈련 실시
- ‘펭하!’ 동서발전, 펭수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소통 나선다
- 동서발전, ‘새활용, 쓰임의 재발견’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캠페인 펼쳐
- 동서발전, 협력중소기업에 ‘코로나19’ 극복 위한 열화상 카메라 지원
- 동서발전, 출자회사 통해 강원도 감자 구입 후 기부
- 동서발전, 퀴즈 이벤트 통해 ‘펭수 머그컵’ 증정
- 한국동서발전, 파주시에 영농형 태양광 300kW 종합 준공
- 리셋컴퍼니 ‘태양광 패널 무인청소로봇’,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