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태양광 주요 설비의 KS 인증제품 사용이 의무화 될 예정이다. 인버터, 접속함 등 태양광 설비의 품질 향상과 안전성 강화를 위해 KS 인증제품을 사용하도록 하고, 입지별 특성을 고려해 태양광 설비의 시공기준을 차별화 한다.
![[]](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02/36912_32156_038.jpg)
산업부는 2월 14일, 서울비스센터에서 3월 2일부터 시행 예정인 변경되는 제도에 대한 설명회를 열고 태양광 관련 주요 협회 관계자들과 이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번 제도개선은 인버터 등 태양광 설비의 품질 향상과 안전성 강화를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그간 전문가 자문위원회, 업계·협회 등 의견수렴을 거쳐 마련됐다.
KS 인증 태양광 설비 사용 의무화 확대
기존 정부 보급사업에 한정됐던 KS 인증 인버터, 접속함 의무 사용을 향후에는 사업용(RPS) 설비에도 의무적으로 적용토록 한다. 이를 통해 품질과 안전성이 검증된 인증제품 사용으로 화재 등에 대한 안전성 향상과 함께 저가·저품질 제품의 국내유통 방지 및 기술개발을 위한 업계의 연구·개발로 제품 경쟁력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태양광 설비 시공기준은 건축물 위주로 마련·운영 중이나 건물뿐만 아니라 주차장 등의 지상과 수상 등 다양한 유형의 태양광 설비가 등장하고 있는 상황도 반영됐다.
태양광 설비 시공기준을 지상형(일반지상형, 산지형, 농지형), 건물형(설치형, 부착형(BAPV), 일체형(BIPV)), 수상형으로 구분함으로써 입지별 상황을 반영해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설비가 시공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번 개정을 통해 정부 보급사업에 적용 중인 태양광 설비 시공기준을 사업용(RPS) 설비에도 적용토록 한다. 사업용(RPS) 설비의 시공내용을 발전사업자(소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설비확인 점검결과(체크리스트) 제출도 시공기준에 포함했다.
한편, 이번에 개정·시행되는 태양광 설비 시공기준은 정부 보급사업 설비는 올해 공고되는 사업부터 적용되고, 사업용(RPS) 설비의 경우에는 시행 이후 전기사업법에 따라 공사계획인가(신고)를 받는 설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 [핫이슈] ESS 화재사고 원인은 배터리?… SOC 제한 등 안전대책 나와
- 산업부, 풍력발전 추진지원단 발족... 1대1 밀착지원 실시
- 정부, 국민 체감 가능한 수준까지 ‘재생에너지 확산’ 집중한다
- 정부, 2020년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 위해 전방위 지원
- 태양광 인버터 KS 인증 의무화… 시행시기 적정한가?
- 산업부, 태양광발전 계통 접속 허용기준 20% 확대… 속도감 있는 사업진행 기대
- 서울시, 지자체 최초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적극 지원 나선다
- 유건물산, 국내 시장에 50kW 프리미엄 태양광 스트링 인버터 공급
- 삼도전기에너지, 모듈 용량 대비 3배 발전량 ‘태양광 스마트 발전기’
- 한국에너지공단, 상반기 RPS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실시… 역대 최대 1.2GW 선정
- 태양광 인버터 최대 이슈는 ‘KS 인증’… 제품은 가격보다 안정성이 우선
- 태양광 인버터 ‘KS 인증’, 코로나19로 인한 심사일정 문제없나?
- 태양광 인버터 시장, ‘KS인증’ 무대에서 펼쳐지는 새로운 경쟁!
- 서울시, ‘미래형 태양광’ BIPV 보급 나선다… 시범 사업 3곳 선정
- 에스지에너지, 출력편차 없는 무반사 컬러의 BIPV 선보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