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최근 기업은 물론 사회적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ESG 경영이 시대적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시가 ESG를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나선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로, ESG 경영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을 고려하는 기업 경영을 뜻한다.
최근 국내‧외 기업들은 ESG 투자 확대를 발표하고 RE100‧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미래성장전략으로 ESG 경영을 선택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국제 ESG 투자규모는 40조5,000억 달러로, 2012년(13조3,000억) 대비 3배 이상 성장했다.
기후예산제 전면 도입
서울시는 우선 지난해 3개 본부‧국에 시범 도입한 ‘기후예산제’를 올해부터 시정 전 분야에 전면 도입해 내년도 예산에 반영한다. 기후예산제는 예산 사업별로 온실가스 배출영향을 분석해 온실가스 감축이 예상되는 사업은 확대하고, 배출이 예상되는 사업은 규모를 축소하거나 배출 상쇄방안을 마련하는 제도다.
예컨대 전기차 보급, 녹지 확충 등은 온실가스를 줄이는 ‘감축사업’에 해당돼 예산 편성에 우선 반영하고, 연료소비를 증가시키는 ‘배출사업’은 저감방안을 포함하는 예산안으로 감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이다.
서울시는 2021년 3개 본부‧국(기후환경본부, 푸른도시국, 물순환안전국)에 기후예산제를 시범 도입했으며, 올해 125개 사업에 3,725억원을 기후영향사업으로 분류했다. 이를 통해 99만t의 온실가스 감축이 예상된다.
매년 시행하는 26개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경영평가에는 ESG 관련 지표 반영을 추진한다.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 녹색제품 구매실적, 제로웨이스트 추진실적 등을 평가지표로 설정해 투자·출연기관의 ESG 경영을 강화한다.
공공기관 녹색제품 의무구매도 확대한다. 서울시의 녹색제품 구매심사 기준을 현행 70만원 이상에서 50만원 이상으로 강화한다. 서울시 녹색제품 구매액의 71%를 차지하는 건설‧토목 분야는 구매실적을 집중 관리해 의무구매 비율을 2021년 32.6%에서 2026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ESG 경영에 앞장서는 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해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견인한다. 지난해 시금고 지정 평가항목에 ESG를 반영한 ‘녹색금융 이행실적’을 신설한 데 이어, 공사‧물품‧용역 등 계약이나 민간위탁시 ESG 우수기업을 우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대기업 중심의 ESG 경영이 중소기업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에 대한 친환경‧ESG 컨설팅도 확대 지원한다.
서울시 유연식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는 동아시아 최초로 C40로부터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행동계획을 인증받는 등 기후변화 대응에 힘써왔다”며, “탄소중립으로 향하는 길에 기업, 시민과 협력해 ESG 생태계를 조성하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시, 도시미관 살리는 BIPV 태양광 보급…설치비 최대 80% 지원
- 서울시‧KOTRA, 혁신기업 해외진출 지원한다
- 서울시120다산콜재단‧서울시립대학교, 빅데이터+인공지능 기술로 스마트 서울 만든다
- 서울시, 어린이집 등 118개소 그린리모델링으로 온실가스 344t 줄여
- ‘쿨링로드’로 도로 온도 낮추고, 미세먼지도 잡는다
- 서울시, 음식물쓰레기 감량 위한 ‘AI 푸드 스캐너’ 시범 도입
- 탄소배출 크게 줄이는 재생자전거, 서울시민 사로잡았다
- 서울시, 저탄소 혁신기술기업 육성한다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저탄소 에너지 기술 특허 감소세…연료전지 전기차 관련 특허 증가세”
- 서울시, 건물에너지효율화 융자금 35억원 중 80% 소진…단열창호 100% 지원
- 진에어, ESG위원회 출범... 중장기적 전략 수립
- 카카오, 두 번째 ESG 보고서 발간... 투명한 활동 전개로 신뢰도 높여
-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폭염대책…도심온도 낮추고 취약계층 지원
- 공공기관 최초로 직원으로 임용된 로봇 캐릭터 ‘윌디’
- 서울시, 규제 개혁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 만든다
- 양재 수소충전소, 서울 최대 수소충전소로 거듭난다
-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민관 협력 네트워크 ‘제로서울 실천단’ 출범
- 서울투자청, 서울 투자유치 핵심이 될 ‘CORE 100’ 선정
- 서울시, 마포구‧HSBC은행‧생명의숲과 구룡근린공원 도시숲 조성
- 서울시, 올해 전기차 보급 누적 7만대 넘을까? 하반기 1만대 추가 보급
- 서울시, ‘제로서울 챌린지’ 6만여명 참여… SNS 등 다양한 캠페인 진행
- 서울시의회-지속가능경영학회, ‘ESG서울포럼’ 개최… 스마트 도시 환경 구축 기대
- 정부, 온실가스 국외감축 지원 확대… 50% 지원 10년 걸쳐 상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