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2050년 탄소중립 사회로 이행을 준비하고, 기후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기반 마련에 나선다.
부산시는 7월 6일 ‘부산광역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조례’를 제정·공포한다고 5일 밝혔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로써 3월 25일 자로 시행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의 법적 위임 사항과 관련 시책 추진의 근거가 마련됐다”며, “이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6번째”라고 밝혔다.
![부산시는 7월 6일 ‘부산광역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조례’를 제정·공포한다. [사진=utoimag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07/46380_47989_3210.jpg)
이번 조례의 주요 내용은 △2050 탄소중립 달성 비전 명시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시행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설치·운영 △온실가스 감축시책 규정 △기후위기 대응사업의 시행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 육성 △녹색생활 운동 등에 대한 지원 △탄소중립 지원센터의 설립·운영 등이다.
부산시는 이번 조례를 통해 ‘2050 탄소중립 선도도시 부산’을 실현하기 위해 과감한 탄소저감 시책을 추진하고, 기후위기에서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지원사업 등을 본격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탄소중립 사회에 대한 시민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공무원과 시민이 함께하는 ‘Green Action 20+30 나부터~ 캠페인’을 통해 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 운동을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캠페인은 △공무원이 지킬 수 있는 ‘출퇴근, 업무수행 중 탄소중립을 위한 생활 수칙 20개’와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가정생활, 소비 등의 실천과제 30개’를 정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이를 생활화하는 운동이다.
특히 가정·상업·수송 등 비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은 비용이 적고, 효과는 즉각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일상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생활 습관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시민 동참과 사회적 연대를 확산해나갈 계획이다.
부산시 이근희 녹색환경정책실장은 “기후위기가 직면한 현 상황에서 한 사람의 발걸음보다 열 사람의 발걸음이 더 효과가 크다”며, “이번 조례 시행으로 시민과 함께하는 2050년 탄소중립 도시로의 부산을 꼭 이뤄 시민들이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부산시, 4대 보험료 지원해 중소기업 일자리 지킨다!
- 부산시, 2050 탄조중립 도시 실현 밑그림 나왔다
- 부산시, 창업하는 청년 3년간 최대 5,400만원 지원
- 부산시, KS인증 시험용 태양광 패널 재활용해 에너지복지 실현한다
- 부산시, 산업·환경·사람 공존하는 혁신 산업단지 조성… 8조6,796억원 투입
- 부산시, 사회적경제기업 지속성장 돕는다
- 부산시, ‘부산형 히든챔피언 기업’ 발굴해 월드클래스로 키운다
- 부산시, 지역기업 에너지 효율 제고 나선다
- 부산지역 지하역사 공기질 6대 특·광역시 중 가장 좋다
- 부산시, 전기차 충전시설 및 전용주차구역 의무설치 대상 확대
- 부산시, 전기차와 충전시설 확산 나선다
- 부산시, 민간 주도 탄소중립 실천 확산 나선다
- 부산시, 부산형 히든챔피언 등 지역 경제 혁신 이끌 강소기업 26개 사 선정
- 부산시·한국남부발전,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 나선다
- 부산시, 해양과 우주기술 융합한 신산업 육성 추진
- 부산시, 원스톱 지원체계 갖춘 창업 컨트롤타워 부산창업청 설립
- 부산시·부산시의회·BNK부산은행, 소상공인‧취약계층에 3년간 7조3,380억원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