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LG화학이 재영텍과 손잡고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 진출을 가속화한다.
LG화학은 지난 12월 20일, 서울시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전문업체 재영텍과 240억원 규모 지분투자 계약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지분투자를 기반으로 오는 2023년 말 북미 지역에서 배터리 리사이클링 합작법인을 설립할 계획이다. LG화학은 비즈니스 모델 구축 등 사업 전반을 이끌고, 재영텍은 공장 설계 등 기술 관련 사항을 담당한다. 양사는 북미에 공급망을 확보한 현지 업체들과도 협력해 사업을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다.
재영텍은 2016년 설립된 경상북도 구미 소재 배터리 리사이클링 전문기업이다. 2차전지 업체가 쓰고 남은 리튬 폐기물(스크랩)이나 다 쓴 전지에서 고순도의 리튬을 뽑아내는 기술력을 갖췄다.
기존 업계에서는 배터리를 액체에 담가 녹이며 망간·코발트·니켈 등을 순차적으로 뽑아내고, 마지막에 리튬을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여러 물질을 녹이고 나면 액체에 불순물이 생겨 리튬의 순도가 낮아지는 점이 고질적인 문제로 꼽혔다.
재영텍은 기존 공법과 달리 전지 소재에 열을 가해 리튬을 먼저 추출하고, 망간·코발트·니켈은 후공정에서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공정이 단순하고, 망간·코발트·니켈의 순도는 기존 공법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고순도의 리튬을 뽑아낼 수 있다. 리튬의 회수율도 85% 이상으로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된다.
앞서 LG화학은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북미 최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업체인 '라이-사이클(Li-Cycle)'에 600억원을 투자하는 등 배터리 재활용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LG화학 이상협 경영전략담당 상무는 “이번 지분투자를 통해 글로벌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 진출의 초석을 마련할 것”이라며, “차별적인 기술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향후 순환경제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LG화학-고려아연, 美 IRA 공동 대응 나서… 2,576억원 규모 상호 지분 취득
- LG화학, IRA 대응 잰걸음… 4조원 투자해 미국 최대 양극재 공장 짓는다
- LG화학, 포집한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 원료 생산한다
- LG화학, 석유화학 분야 차세대 소재 육성 가속화…화학적 재활용 열분해유‧단열재 에어로젤 공장 신설
- LG화학, 차세대 친환경 기술로 글로벌 시장 선점한다
- 포스코-LG엔솔, 이차전지 전 분야 협력 강화… “글로벌 판 흔들 것”
- LG화학-연세대, ‘전지 소재 산학협력센터’ 설립 MOU 체결
- LG화학, 녹수와 친환경 럭셔리 바닥재로 글로벌 시장 공략
- LG화학‧에너지평화, 서울시 취약계층에 방한용품·장학금 전달
- LG화학, 미쓰비시 자동차에 ‘금속 대체 플라스틱’ 적용… 기존 소재보다 무게 4kg↓
- LG화학, 해양폐기물로 재활용 플라스틱 만든다
- LG화학, 국내 기업 최초 북미산 리튬 확보…전기차 50만대 분
- LG화학-한양대, ‘전지소재 분야 우수인재 육성’ 위한 MOU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