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포스코케미칼이 삼성SDI에 40조원 규모의 배터리용 하이니켈 양극재를 공급한다.
포스코케미칼은 올해부터 2032년까지 10년간 삼성SDI에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 NCA 양극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공시했다. 40조원 규모의 이번 계약은 포스코케미칼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이자 최장 기간의 수주다.
이번 계약으로 포스코케미칼은 지금까지 주로 생산하던 NCM·NCMA 양극재 외에 NCA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다양한 글로벌 완성차사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삼성SDI를 새로운 고객으로 확보하며 또 한번의 퀀텀점프 기반을 마련했다.
NCM·NCM(A) 양극재는 리튬·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을 원료로 제조한 양극재이며, NCA 양극재는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을 원료로 제조한 양극재로 배터리 밀도와 출력이 높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재다.
양극재는 배터리 원가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용량과 출력을 결정하는 핵심소재다. 리튬·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등을 원료로 제조하며, 원료 조성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의 특성과 성능이 구분된다.
포스코케미칼은 2012년 양극재 사업을 시작한 이래, 전기차 시장의 빠른 성장과 세분화되는 고객의 니즈에 발맞춰 제품 다변화를 위한 연구 개발을 적극 추진해 현재 5종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보급형 전기차용 제품인 LFP(리튬인산철) 양극재도 개발 중에 있어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제품군은 더욱 다양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리튬·니켈 등의 광권 확보부터 소재 생산, 리사이클링까지 풀 밸류체인을 확보한 포스코그룹과 파트너십을 맺은 삼성SDI도 글로벌 배터리 사업 확대에 필수적인 핵심소재의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하게 됐다.
앞으로 포스코케미칼은 안정적인 글로벌 양산능력과 원료 경쟁력을 바탕으로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한 삼성SDI와의 장기적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SDI 최윤호 사장은 “이번 포스코케미칼과의 협력으로 장기간 확고한 신뢰관계를 확보함으로써 양사의 장기간 규모 있는 성장을 함께 이룰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특히 이를 통해 급성장하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글로벌 톱티어 회사가 되겠다는 삼성SDI의 비전 달성 시기를 더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스코케미칼 김준형 사장은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에 대응해 고객과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사업경쟁력을 고도화하려는 노력이 성과를 거뒀다”며, “삼성SDI와 긴밀한 협력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양극재를 생산해 배터리소재 글로벌 시장 리더로서의 지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포스코케미칼, 2022년 연결기준 매출 3.3조… 사상최대 실적
- 경북도 김천시, 560억원 규모 새빗켐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 투자 유치
- 포스코케미칼, 양극재 핵심기술 해외 길 열려… 글로벌 시장 선점 기대
- ‘이차전지 특화단지’ 유치에 진심인 포항시, 실무추진단 구성 등 총력 기울여
- 포스코케미칼, 美 얼티엄셀즈 배터리용 인조흑연 음극재 9,393억원 수주
- [B트렌드] K-배터리 3사 신년사로 살펴본 2023 이차전지 산업 미리보기
- 삼성-BMW, CEO 미팅 통해 ‘배터리·전기차’ 협력 강화
- UNIST-삼성SDI, ‘e-Battery Track’ 설치 협약 체결
- 삼성SDI, 파트너사 동반 성장 위해 1,552억 푼다
- 삼성SDI, 2022년 사상 최대 매출·영업이익 기록… 에너지·전지가 성장 견인
- 포스코케미칼, 포항 산단에 연산 1만톤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 2단계 착공
- 삼성전자 ‘갤럭시 S23’ 시리즈 전 세계 본격 출시
- 포스코케미칼, ‘포스코퓨처엠’ 사명 변경 추진… 이차전지 미래 소재사업 선도
- 포스코홀딩스, 인도네시아 이차전지용 니켈 사업 깃발 꽂아
- 포스코케미칼, ‘포스코퓨처엠’으로 사명 변경 확정… 이차전지소재 사업 강화
- 포스코퓨처엠, 포항에 NCA 양극재 전용공장 첫 건설… 2025년부터 공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