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한국전력(사장 정승일)이 전기박물관의 재정비를 완료하고 2월 10일 새롭게 문을 열었다.
전기박물관은 전기만을 주제로 하는 국내 유일이자 국내 최초의 박물관이며, 2001년 개관 이후 현재까지 매년 8만여 명이 방문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지난 2년여 간 운영을 잠시 중단하며 설비를 현대화하고 전시유물을 재배치 및 복원했다.
이번 리뉴얼은 유물을 단순 나열하는 백화점식 전시를 지양하고 ‘연결:Connect On’을 콘셉트로 해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역사를 ‘사람·생각·공간·시간’과 관련지어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쉽고 흥미롭게 전달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스 시대 정전기의 발견부터 한국전력의 전신인 한성전기회사(1898)의 태동, 근현대사를 지나온 대한민국의 전력산업, 탄소중립과 디지털변환에 이르는 지금의 모습까지를 역사적 맥락과 흐름에 맞춰 한눈에 보여준다. 또한, 여러 전문가의 고증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상지인 건청궁의 아크등(Arc Lamp)을 새롭게 복원했다.
한전 관계자는 “특히 한성전기 설립과 한양의 전차 도입 등 초기 전력사에 중요한 인물인 해리 라이스 보스트위크(Bostwick)와 한국전력 박영준 초대사장 후손의 희귀 기증자료를 기획전시실에 별도로 전시해 ‘대한민국 전기역사 뿌리 찾기’의 결실을 거뒀다”고 밝혔다.
한전 정승일 사장은 “전기박물관이 국민분들께 전기의 소중함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알리는 특별한 역사문화 전시공간이 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며, “한전은 대한민국 전력산업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가슴에 새기고 전 세계를 무대로 새로운 성공스토리를 계속 써내려가겠다”고 전했다.
- 국내 11개 전력그룹사, 재정건전화 나선다… 5년간 20조원 재무개선 목표
- 태양광 계통안정화 총력전 예고… ‘인버터 특별대책반’ 본격 가동
- 한국에너지재단-한전KPS, ‘빛나눔 태양광발전설비 지원사업’ 성과 홍보 현판식 개최
- 정부, 2036년 원전·신재생 30% 이상, 석탄발전 15% 이하 목표
-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 대국민 보고대회 참여할 ‘국민참여단’ 공개 모집
- 전력계통 종합대책, 상반기 내 발표… 유연성 및 안정성 강화 대책 마련
- 한전, 글로벌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 기술사업화 주관기관 선정
- [In터뷰] 한전 이명환 에너지신사업처장, “에너지신사업 생태계 조성 마중물 역할 할 것”
- 한전, 서울 아파트 1만5,000세대에 ‘지역DR 시범사업’ 추진
- 한전, MG·에너지효율향상사업 등 핵심사업 중소기업 지원 강화
- 한전, 제주 전력망 정밀감시시스템 ‘J-WAMS’ 준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