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지난달 27일 「경부하기 태양광 설비 밀집지역에 대한 계통 안정화 방안」을 발표한 정부에 이어 에너지공단이 후속조치에 나섰다.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이상훈)은 1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한국전력공사(사장 정승일), 한국전력거래소(이사장 정동희)와 함께 ‘기관합동 태양광 계통안정화 대응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태양광 발전설비가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기여하기 위한 요건 중 하나인 ‘지속운전성능’ 구비에 대해 태양광 밀집 지역인 전북·전남·광주·경남 일대의 발전사업자를 주 대상으로 협조를 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된 설명회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국내 정책방향 소개 및 인버터 교체사업 안내(한국에너지공단)와 함께, 경부하기(봄·가을) 특별 전력계통 운영계획(한국전력거래소)과 태양광 인버터 성능개선 사업(한전)에 대한 설명,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태양광 발전설비를 전력망에 연계시키는 ‘인버터’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안전한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서는 전력설비 고장으로 발생하는 저주파수, 저전압에도 불구하고 태양광설비가 일정시간 계통에서 탈락하지 않음으로써 계통 불안정의 연쇄적인 파급을 방지하는 인버터의 성능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경부하기 태양광 설비 밀집지역에 대한 계통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고 정부, 공단, 한전, 거래소,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참여하는 「태양광 인버터 특별대책반」을 통해 계통안정화에 필요한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 이상훈 이사장은 “재생에너지의 보급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전력시스템 내에서 재생에너지의 유연성을 높여 전력계통의 불안정성을 선제적으로 해소하는 등 전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전력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공단은 한전, 거래소 등 유관기관과 함께 재생에너지가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기여하고, 미래 주력전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정부와 발전사업자를 지원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 전력계통 종합대책, 상반기 내 발표… 유연성 및 안정성 강화 대책 마련
- 산업부,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 제1차 회의 개최… “새 전력계통 종합대책 마련 예정”
- 尹정부, 첫 전력수급기본계획…"2030년까지 원전 32.8%, 신재생 21.5%, 석탄 21.2%"
- 신재생에너지 전기설비... ‘맞춤형’ 안전관리 제도 개편
- 한전, ‘제9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발표…재생에너지 확대에 방점
- 태양광 숙원 해소될까… 산업부 박기영 에너지차관, “내년까지 2.2GW 설비 계통 연계될 것”
- [단독] 태양광 인버터 ‘탄소검증제’ 도입될까? 사전 조사에서 긍정적 결과 도출
- 한전, 전기박물관 리오프닝…스토리텔링 방식 전시유물 재배치 및 복원
- 한전, 글로벌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 기술사업화 주관기관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