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LG화학(대표 신학철)과 CJ대한통운(대표 강신호)이 재활용을 통한 순환경제 해법 마련에 공동 대응한다.
양측은 6일,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플라스틱 자원 재활용 및 순환경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은 물류센터에서 나오는 포장용 랩을 수거해 재활용 랩을 만드는 내용이다. CJ대한통운이 전국의 물류센터에서 버려지는 포장용 랩을 수거해 LG화학에 전달하면, LG화학은 이를 PCR(Post-Consumer Recycle) 기술을 활용해 재생산한다. 만들어진 재활용 랩은 CJ대한통운에 재공급된다.
LG화학은 재활용 랩 1000롤을 이달부터 공급한다. 향후 CJ대한통운에서 추가로 수거되는 양에 따라 점차 공급량을 늘릴 계획이다.
포장용 랩(스트레치 필름, Stretch Film)은 물류센터나 산업현장에 적재된 물건들을 고정시킬 때 쓰이는 데 대부분 폴리에틸렌(PE) 소재다.
국내 폴리에틸렌 시장에서 수거되는 폐기물은 연간 80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다만 재활용보다는 소각 또는 매립되는 비율이 크다.
LG화학과 CJ대한통운은 이번 MOU를 통해 재활용률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계의 노력을 강조하는 한편 지속가능 전략 마련에 힘을 싣는다.
LG화학 PO(폴리올레핀) 영업담당 한석희 상무는 “포장용 랩 재활용을 통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와 탄소저감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관련기사
- LG화학, 中 최대 염호 리튬 프로젝트 ‘RO필터’ 1만개 공급
- 목포시, 태양광 폐패널 방문수거…재활용·재사용률 높인다
- 정부, 2025년까지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재사용률’ 80% 이상으로 끌어 올린다
- LG화학, 해양폐기물로 재활용 플라스틱 만든다
- LG화학-한양대, ‘전지소재 분야 우수인재 육성’ 위한 MOU 체결
- LG화학, 전지소재 중심 급성장 중인 글로벌 ‘CNT’ 시장 공략 가속화
- LG화학, LX하우시스와 배터리 열폭주 지연 소재 개발… 1,500℃ 불길에도 20분 ‘거뜬’
- CJ대한통운, 오토스토어 자동창고 솔루션 도입… “이커머스 트렌드에 발 빠르게 대응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