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정부의 경제 분야 수장들이 계엄 사태 영향으로 흔들리고 있는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해 "40조 원 규모 채권시장안정펀드와 회사채·기업은행(CP) 매입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5일 서울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F4 회의에 참석했다.
이들은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시 시장안정을 위한 모든 조치를 신속히 단행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지난 4일 금융·외환시장은 장 초반 변동성이 다소 확대된 모습을 보였으나 정부의 시장안정 조치 발표 이후 시간이 갈수록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참석자들은 최근 상황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시장 변동성에 대해 충분한 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어 해외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도 우리 국가 신용등급에 '실질적 영향이 없다'고 평가했다"며 "시장 참가자들이 과도한 불안감을 갖기보다는 냉정하고 차분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어 이들은 "현재 국내 상황이 미국 신 행정부 출범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과 맞물리면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관계 기관이 함께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가능한 모든 조치를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대 10조 원 규모 증권시장 안정펀드 뿐만 아니라 40조 원 규모 채권시장안정펀드와 회사채·기업은행(CP) 매입 프로그램도 가동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은에서도 RP매입을 즉시 개시해 유동성을 무제한 공급하고 필요한 경우 국고채 단순매입, 외화RP 매입을 통한 외화 유동성 공급 등 다양한 시장안정 조치를 신속히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비상계엄 여파에 경제계 비상··· 기업 행사 줄줄이 연기
- 최상목 "금융·외환시장을 정상 운영…시장안정 위한 모든 조치 취할 것"
- 최상목 부총리 “향후 6개월, 우리 산업 운명 결정할 골든타임”
- 최상목, 노숙인 지원현장 점검…"정책 전달체계 실무자 의견이 중요" 강조
- 최상목 경제부총리 “트럼프 정책, 韓 경제에 큰 영향 줄 것”...범정부 대응 나선다
- 최상목 부총리 "중동사태 철저 대비…세수 결손 대응책 마련“
- 최상목 경제부총리 “유비무환 전략, 경제 안보 강화 필요성 강조”
- 최상목, 국회에 "경제안정에 경제팀 총력···예산안 신속 확정" 요청
- 최상목 부총리, “기업 투자 적극 지원…9조 3000억 규모 프로젝트 추진”
- 최상목 "금융·외환 변동 확대될 가능성↑…차분한 대응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