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삼성전자는 2019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정 테마 연구지원 과제 15개를 선정해 발표했다고 7월 9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일환으로 국가적으로 연구가 필요한 미래 과학기술 분야의 혁신을 위해 2014년부터 지정 테마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혁신적인 반도체 소재 및 소자·공정 기술,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슈머(Consumer) 로봇, 진단 및 헬스케어 솔루션 등 4개 분야에서 총 15개 과제를 선정했다.
반도체 산업의 획기적인 기술 향상을 이끌 기술을 공모한 ‘혁신적인 반도체 소재 및 소자·공정 기술’ 분야에서는 이온 이동을 이용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명지대 윤태식 교수),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100층 이상 집적하기 위한 신규 소재(한양대 송윤흡 교수), 다이아몬드를 이용한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중앙대 이형순 교수) 등 반도체 소자 구조·소재 과제 6개가 선정됐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연구과제들을 선정했다. OLED 청색 발광 소재의 효율 한계 극복(홍익대 김태경 교수), 홀로그램용 공간 변조 기술 연구(고려대 세종캠퍼스 김휘 교수), 나노와이어 기반 마이크로 LED 연구(한양대 에리카캠퍼스 김재균 교수) 등 5개 과제가 선정됐다.
‘컨슈머 로봇’ 분야에서는 로봇 피부에서 압력, 온도, 거리, 진동 등을 감지하는 말초신경계 광섬유센서 개발(부산대 김창석 교수) 등 2개 연구과제가 선정됐다. 그리고 ‘진단 및 헬스케어 솔루션’ 분야에서는 미세먼지를 크기와 종류별로 구별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술(KIST 유용상 교수) 등 2개 과제가 선정됐다.
한편, 함께 공모했던 ‘차세대 컴퓨팅 및 시스템 아키텍처’ 분야에서는 산업계의 혁신을 위해 보다 도전적인 목표와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는 심사위원단 의견에 따라 과제가 선정되지 않았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3년 국가 미래 과학기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10년간 1조5,000억원을 출연하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시작했다. 기초과학, 소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자유 공모 지원과제’는 매년 상, 하반기에 한 차례씩 선정하며, ‘지정 테마 지원과제’는 연 1회 선정한다.
- 삼성전자, 고효율 미세먼지 정화 등 15개 혁신 미래기술 지원
- 삼성전자, 반도체 정밀배관 기술 아카데미 통해 전문인력 양성 지원
- 삼성전자, 업계 최초 6,400만 화소 모바일 이미지센서 공개
- 삼성전자, 세계 최고 미세 공정 기반 1z나노 8Gb DDR4 D램 개발 완료
- 과학기술혁신본부,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산학연 전문가 포럼 개최
- ‘로봇부터 협업까지’ 큐엔티, 건강한 산업 생태계 꿈꾼다
- 어플라이드, 제조혁신 통해 차세대 메모리 대량생산 시대 연다
- ‘납 안녕!’ KIST, 이터븀 사용한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합성 성공
-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 사우디 리야드 메트로 건설 현장 방문
- 삼성전자, 세계 최초 3나노 반도체 개발... 반도체 부활 신호탄 될까
- 국내연구팀, 나노 입자의 3D 초정밀 분석 기술 세계최초 개발
- UNIST 이준희 교수, 삼성전자 지원으로 반도체 집적도 1,000배 향상 가능한 원리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