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현행 시장조성자인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외에 하나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에스케이(SK)증권 등 3곳의 증권사를 추가로 선정했다고 4월 30일 밝혔다.
![선정된 증권사는 온실가스 배출권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환경부와 4월 30일 계약을 맺고 5월 17일부터 시장조성 업무를 수행한다. [사진=utoimag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04/42225_40815_74.jpg)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은 기업이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덜 내거나 더 내는 온실가스를 서로 사고팔 수 있도록 거래가 이뤄지는 곳이다. 정부 할당량보다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한 기업은 남는 허용량을 판매하고, 허용량을 초과한 기업은 그만큼 배출권을 사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뤄진다.
환경부는 사전에 신청한 총 7곳의 증권사 중에서 계량·비계량 평가를 거쳐 종합점수 고득점 순으로 하나금융투자 등 3곳의 증권사를 계약대상자로 선정했다.
이들 3곳의 증권사는 온실가스 배출권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환경부와 4월 30일 계약을 맺고 5월 17일부터 시장조성 업무를 수행한다.
시장조성자로 지정되면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수-매도 양방향 호가를 매일 제시하고 거래해야 하며, 매월 환경부에 시장조성 실적을 보고하고 평가받아야 한다.
환경부 장이재 기후경제과장은 “이번에 지정된 시장조성자들이 배출권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이는 합리적인 탄소 가격 형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바로 지금, 나부터! 2050 탄소중립”… 28일까지 기후변화주간
- 환경부, 건물일체형태양광 활성화 지원… 소속‧산하기관에 도입 추진
- 환경부, 2023년까지 5개 댐에 147.4MW 규모 수상태양광 짓는다
- 환경부 한정애 장관, ‘양재 그린카 스테이션’ 현장 점검
- 국외 유입 미세먼지 잡는다… 환경부, 63개 측정망 구축
- 환경부, 상표띠 없는 생수병 등 3건 상반기 적극행정 우수사례 선정
- 환경재단, “지구쓰담 캠페인으로 생태계 복원 앞장서요”
- 환경부, 공공 주도로 물관리 분야 탄소중립 속도낸다
- 냉동·신선식품 배송용 고흡수성수지 아이스팩 2023년부터 폐기물부담금 부과
- 녹색융합클러스터법, 댐건설법안 국회 통과
- 환경부·식약처, 폐플라스틱 식품용기 재활용 확대 추진
- 제주도 1회용 컵 없는 청정지역 된다
-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2018년 이후 2년 연속 감소 예상
- 탄소중립 학교가 앞장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