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세계적인 감염병 확산과 이상기후 현상으로 탄소중립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탄소중립 사회 구현을 위한 수소 기계기술의 미래를 조망하는 ‘2021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이 열렸다.

수소 기술 분야의 세계적 석학을 비롯해 글로벌 수소전문기업인, 국내 수소경제 생태계를 선도하는 기업까지 각계각층의 연사가 참여해 입체적인 미래전망을 제시할 것으로 더욱 관심을 모았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 원장 박상진)은 ‘탄소중립의 기반, 수소 기계기술’을 주제로 9월 8일 ‘2021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2021 Global Forum on Mechanical Engineering)’을 온라인에서 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후원으로 한국기계연구원과 국회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 조승래 의원,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포럼은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으로 꼽히는 수소 기계기술의 미래를 입체적으로 전망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기조연설에는 독일 율리히 연구소 산하 기술경제시스템분과 데틀레프 스톨튼 소장(아헨대학교 교수)이 연설자로 나서, ‘수소기술: 탄소 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주제로 연설했다. 스톨튼 소장은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 연료전지 분과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한 수소경제 분야 세계적 석학이다.
이날 포럼에는 수소기술 분야의 글로벌 선두기업 린데 수소연료기술 유한회사의 마커스 바흐마이어 국장을 비롯해 현대자동차 연료전지사업부 김세훈 부사장, 노르웨이 빌헬름센 해운그룹 토피카 유한회사의 슈타이너 매드센 CEO도 연사로 참여했다. 기계연은 최병일 플랜트융합연구실장이 연사로 나서 기계연의 액화수소 기반 수소 사회 인프라 구축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포럼의 마지막 순서인 패널토론에는 수소융합얼라이언스 김성복 단장과 연세대학교 문일 교수,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 최동규 원장, 최병일 실장이 참여해 포럼에서 제시된 수소 기계기술의 미래상을 되짚어보며 포럼에 깊이를 더했다.
- 한국기계연구원, ‘2021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 9월 8일 온라인 개최
- 대우조선해양-기계연, 고망간강 소재 하이브리드 레이저아크 용접기술 개발
- 기계연, 레이저 가공기용 ‘오토포커스’ 장비 국산화 성공
- 기계연,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로 최대 안정성과 효율 동시 확보
- 과기부, 태양광‧풍력‧수소‧바이오에너지 등 ‘탄소중립 10대 핵심기술’ 발표
- 천주교 수원교구, “유엔 정부가 계획하는 2050년보다 10년 빠른 2040까지 탄소중립 실현”
- 기계연, 리포솜 대량생산 위한 미세유로칩 개발 성공
- 기계연, 비대면 서비스 로봇 위한 문어 다리 닮은 흡착형 만능 그리퍼 개발
- 기계연‧LG에너지솔루션, 미래 에너지 차별화된 기술력 확보 나선다
- AI 기반 스마트 방역로봇, 사람과 함께 방역작업도 척척
- 기계연, 굴뚝 흰연기 속 응축성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