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한국남동발전(사장 김회천)이 국내 발전사 최초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현실의 사물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서 구현)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설비점검시스템을 개발해 본격 운용에 들어간다고 11월 2일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설비점검 시스템 컴퓨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풍력설비 이미지 [사진=한국남동발전]](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11/44227_44185_045.jpg)
남동발전은 최근 중소기업인 포미트와 공동으로 드론 영상 입체 텍스처 기반의 신재생설비 점검·이력 관리시스템을 개발했다. 양사는 지난해 3월부터 현장기술 연구개발 사업에 착수해, 지난 10월 자율비행 드론, 점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운영하는 프로그램과 신재생설비 이력관리시스템을 개발했다.
인공지능(AI) 기반기술을 활용한 자율비행 드론으로 사진 및 영상 자료를 촬영하고, 이를 실제 설비를 가상화한 3D 모델에 일치시킨 후 설비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접목한 시스템으로 풍력과 태양광설비에 대한 점검·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망원경이나, 로프 액세스, 크레인 등 장비로 풍력설비 블레이드를 점검하거나 열화상 카메라로 태양광 판넬을 점검해 이력 관리를 해왔다.
신재생설비 점검‧이력 관리시스템은 시스템의 객관적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ISO 국제표준을 기준으로 SW의 기능성, 효율성, 연동성 및 적합성을 시험해 인증을 부여하는 GS 1등급을 획득했다. 드론의 운영 및 점검방법의 표준 절차서도 개발해 설비관리에 대한 편의성도 향상시켰다.
![자율드론 활용 신재생에너지 관리시스템 점검하는 모습 [사진=한국남동발전]](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111/44227_44187_223.jpg)
남동발전은 시스템 도입으로 설비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비계획 정지 감소, 이용률 향상, 점검 안전성 확보 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르면 올해 말부터 자체 보유한 풍력 및 태양광 발전설비에 적용 후 시범운영을 마친 뒤 전 사업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국남동발전 이영재 인재기술개발원장은 “한국남동발전은 에너지 전환 및 2050 탄소중립의 선도기업으로서 신재생 발전설비의 개발 확대와 병행한 4차 산업기술 국산화 및 미래 신기술확보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남동발전, 탄소중립과 녹색경제 전환 선도 위해 한국투자증권과 ‘맞손’
- 한국남동발전, 메타버스 활용 청년창업 ESG 공모포상 시행
- 한국남동발전, 공공기관 최초 국제표준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관리인증 동시 갱신획득
- 한국남동발전, 일생생활에서 폐기물 최소화하는 ‘제로웨이스트 샵 프로젝트’ 추진
- 남동발전, 본격적인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시작… 올해만 100MW 분산자원 모은다
- 한국남동발전‧한전, 비대면 중소기업 수출상담회 개최
- 남동발전, ‘제2차 탄소중립추진위원회’ 개최… 24개 핵심과제 선정
- 한국남동발전, “바이오차(Biochar) 농가보급 확대한다”
- 남동발전, 수소경제 전문인력 육성 및 역량강화 추진
- 한국남동발전, 100MW급 가스터빈 핵심부품 블레이드 국산화
- 지역상생 모범사례 ‘해창만 수상태양광’, 탄소중립과 지역경제 활성화 동시에 잡는다
- 한국남동발전, 천연가스 복합발전 수준으로 석탄화력 환경체질 개선
- 한국남동발전, ‘신안 태양광’ 이익금 주민 배당…1인당 20만원, 가구당 최대 208만원 지급
- 남동발전, 공기업 최초로 ‘제로웨이스트 샵’ 열었다
- 한국남동발전, 협력기업과 중대재해 원천 차단을 위한 ‘안전동행 선포’
- 남동발전, 국내 최대 주민 이익공유 태양광 발전사업 첫발 내딛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