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경기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가 드론, 굴뚝 자동측정기기(TMS. Tele-Monitering System) 등을 활용한 ‘대기오염물질 배출행위 즉각 대응팀’을 연중 운영한다고 2월 10일 밝혔다.

이번 대응팀 운영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단속 사각지대와 휴일·심야시간 등에 대한 감시체계 강화에 목적이 있다.
우선 드론 항공 촬영을 통해 미세먼지 발생 대형사업장 내 무허가 오염물질 배출시설 운영과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 사업장 상부 오염물질 배출 방지시설 훼손 등을 확인하고 필요시 해당 사업장을 방문해 집중 점검에 들어간다.
굴뚝 자동측정기기는 대기오염물질이 연간 10톤 이상 발생하는 대형사업장과 그로 인한 민원 발생(우려 포함) 사업장, 중점 관리 사업장에 설치돼 오염물질 배출 상황을 24시간 감시한다.
사업소는 이러한 방식 외에도 대기오염 입자·가스상 시료 채취기와 가스분석기 등 첨단장비를 더해 대기오염물질을 포집한 후 현장에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미세먼지 원인물질에 대한 배출 허용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한다. 그 외 오염물질은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에 시료 분석을 의뢰한다.
점검 결과 위반사항이 적발된 사업장에 대해서는 관련 법규에 따라 시설 개선 명령, 과태료 부과 등 행정처분과 형사고발, 인터넷 공개 등 후속 조치할 예정이다.
경기도 임양선 광역환경관리사업소장은 “환경오염물질을 비정상적으로 배출하는 사업장을 신속하게 확인해 법과 원칙에 따라 강력하게 대처, 깨끗한 대기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는 미세먼지 발생 외에도 폐기물 불법투기, 악취 발생 등의 환경오염 문제에 대해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수시 기획 단속을 실시할 계획이다.
- 경기도, 탄소중립 등 미래전략산업 연구개발에 45억5,000만원 지원
- 경기도, 에너지 분야 융자지원 대상 기업 모집… 최대 2억9,000만원까지
- 경기양주 테크노밸리 도시첨단산업단지계획 승인… 첨단제조기업 모은다
- 경기도 특사경, 건설현장 등 미세먼지 다량 배출사업장 집중 수사
- 경기도, 탄소중립·생산성 향상 방점 찍은 ‘스마트 행복 축산’ 전략 추진
- 경기도, 경기도자율주행센터 자율주행 공공데이터 180만건 개방
- 경기도, 취약계층 이용시설 300곳에 미세먼지 청정구역 ‘맑은 숨터’ 조성
- 경기도, 5년간 1인 영상 창작자 2,302명 양성
- ‘경기스타트업플랫폼’, 기술분야 스타트업 투자유치 이끌었다
- 지난해 1,437억 최대 매출액 달성한 ‘경기행복샵’, 올해 133개 사 지원
- 경기도와 함께 홈쇼핑 히트상품에 도전하세요!
- 경기도교육청, 탄소중립 시범학교 총 54교 선정
- 전남보건환경연구원, 미세먼지 정보 알림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