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포스코ICT(대표 정덕균)가 포스코 로봇솔루션연구센터와 포스코홀딩스 산학연협력담당, RIST 융합혁신연구소, POSTECH과 ‘포스코그룹 로봇기술협의회’를 구성해 대내외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등 시너지 창출에 나섰다.

포스코그룹은 제철소, 신소재, 물류 등 그룹의 핵심 사업영역에 로봇을 확대 적용할 계획으로 현재 스마트팩토리가 적용된 생산현장을 보다 안전한 작업장으로 구현하기 위해 고위험, 고강도 작업장에 로봇 적용을 확대해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추진하고 있다.
로봇기술협의회는 포스코그룹 사업장에서 로봇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할 사이트를 발굴하고, 현장 니즈에 적합한 최적 기술과 솔루션을 확보하기 위해 공동 R&D와 시범 사업을 추진하는 등 현장 적용을 주도하는 역할을 할 계획이다.
포스코ICT는 로봇 기술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위한 설계, 구축, 운영 등 로봇 자동화 전반을 담당하는 한편, 현재 운영중인 스마트팩토리 등 기반시스템과 로봇이 연계되는 융합시스템을 구축해 로봇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포스코 로봇솔루션연구센터는 제철소 현장의 로봇 니즈를 발굴해 정의하고 신속한 현업 적용을 위한 솔루션 도입과 개발을 총괄한다. 포스코홀딩스도 협의회에 참여해 포스코 벤처플랫폼을 통해 육성/투자중인 벤처기업을 핵심기술의 협력 파트너로 연결하고, RIST 융합혁신연구소와 POSTECH은 요소기술 개발을 맡게 된다.
일환으로 5월 19일 오후 포스코ICT 판교 스마트타워에서 ‘포스코그룹 로봇기술 컨퍼런스’를 열고, 로봇기술에 대한 최신개발 현황과 산업계 동향을 살핀다.
기조강연에 나서는 MIT 생체모방로봇연구소장인 김상배 교수는 “Robots with Physical Intelligence(물리적 지능을 가진 로봇)”이라는 주제로 최신 로봇 기술 동향과 동적 로봇의 새로운 설계 패러다임에 대해 공유한다.
향후 로봇기술협의회는 핵심기술과 솔루션 확보를 위한 기술교류를 정례화하고, 중장기 관점에서 파급력이 높은 기술을 중심으로 핵심 요소기술 공동 개발한다. 우선 제철소 대상으로 추진 후, 그룹내 확대함과 동시에 사업화를 모색한다.
한편, 로봇산업은 공장과 같은 생산현장에서 위험 작업을 대체하거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과 의료, 외식, 숙박, 가정용 등 서비스용 로봇으로 구분된다. 서비스형 로봇의 경우 삼성전자, LG전자, SKT 등 국내 대기업이 다수가 참여를 하고 있지만, 산업용 로봇은 화낙(Fanuc), 쿠카(KUKA), 야스카와(Yaskawa) 등 글로벌 로봇 제조사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 포스코ICT, 블루카본 조성 활동으로 ESG 경영 실천 본격화
- 포스코ICT, 리더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포스코ICT, AI 컨트롤타워 본격 가동한다
- 포스코ICT, 행복한 조직문화 조성 위한 직원 케어 프로그램 ‘5 Days’ 운영
- 포스코ICT, 제조 및 건설현장 안전 스마트하게 지킨다
- [Expert column] 디지털 트윈 팩토리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
- 포스코ICT‧아주대, AI 전문가 양성 및 산학연 협력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기업시민 5대 브랜드 아이디어 공모전 발표회 열어
- 포스코ICT-더존비즈온, ERP‧RPA 결합한 업무자동화 서비스 개발
- 포스코ICT, 디지털트윈 융합한 스마트팩토리 구현
- 포스코, 수소환원제철(HyREX) 데모플랜트 설계 착수
- 포스코홀딩스, 폴란드 브젝돌니시에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 준공
- 롯데케미칼-삼성엔지니어링-포스코홀딩스, 말레이시아와 청정 수소사업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