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서울시가 아파트 엘리베이터 운행시 버려지는 전기의 15~40%를 회수해 재사용하는 ‘승강기 회생제동장치’ 설치 사업을 통해 전국 최초로 탄소배출권을 획득했다고 7월 5일 밝혔다.
![승강기 회생제동장치 작동원리 [자료=서울시]](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07/46378_47986_1946.png)
‘승강기 회생제동장치’는 승강기가 상승-하강할 때 모터에서 발생하는 전기가 열로 소비돼 버려지지 않게 사용가능한 전기로 바꿔주는 일종의 자가발전장치다.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해 전기료를 절감하고 온실가스 배출도 줄이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서울시는 아파트 단지에 ‘승강기 회생제동장치’ 설치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2019년 시작, 현재까지 215개 아파트 단지에 2,304대를 설치 완료했다. 올해도 추가 180대를 설치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에 서울시가 획득한 탄소배출권은 168t으로, 2019년 상반기에 설치한 공동주택 10개 단지 117대에서 감축한 온실가스 양에 해당한다.
서울시는 환경부에 ‘온실가스 감축량 인증’을 신청한 이후 약 2년 5개월에 걸친 오랜 검증과 모니터링을 거쳐 6월 28일 환경부로부터 탄소배출권 획득을 최종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번 첫 승인을 시작으로 현재 설치된 215개 단지에 보급한 2,304대 ‘승강기 회생제동장치’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량 인증을 연차적으로 신청해 탄소배출권을 획득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2025년부터는 연간 897t의 탄소배출권을 획득해 연 2,700만원의 경제적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 공동주택 승강기 회생제동장치 설치현황 [자료=서울시]](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207/46378_47987_2018.png)
서울시 김성보 주택정책실장은 “기후변화 대응은 우리 앞에 놓인 매우 중차대한 과제로 서울시는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건물 에너지 감축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관점과 방식으로 건축물 온실가스 감축 대상사업을 적극 발굴해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서울시, 연말까지 따릉이 3,000대 추가 도입…따릉이 이용량 전년 대비 38.3%↑
- 서울시, 저탄소건물 지원 확대…무이자로 고효율 환기설비 교체
- 서울시, 마포구‧HSBC은행‧생명의숲과 구룡근린공원 도시숲 조성
- 서울시50플러스재단, 중장년 취업 창업 지원 확대한다
-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민관 협력 네트워크 ‘제로서울 실천단’ 출범
- 서울시, 규제 개혁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 만든다
-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폭염대책…도심온도 낮추고 취약계층 지원
- 서울시, 2050년 녹색건축물 100% 보급한다…‘제2차 녹색건축물 조성계획’ 발표
-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위해 종합병원과 협력
- 서울시, 쪽방촌 에어컨 설치 착수…전기요금도 지원
- 서울시, 가명처리지원센터 운영…개인정보 가명처리 적극 지원
- 서울시, 아파트 에너지 소비현황 전수조사 해 맞춤 절약 컨설팅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