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LG화학이 국내 석유화학 업계 최초로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국제 인증을 받았다.
LG화학은 익산·나주 사업장 2 곳이 글로벌 안전과학회사 UL Solutions의 ‘폐기물 매립 제로(ZWTL, Zero Waste to Landfill)’ 인증을 획득했다고 7월 13일 밝혔다.
이번에 LG화학 익산 사업장은 전체 폐기물의 96%를 재활용하는데 성공해 ‘골드’ 등급을 받았으며 나주 사업장은 재활용률 94%를 달성해 ‘실버’ 등급을 받았다.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기업의 자원재활용 노력을 평가하는 제도로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하는 비율에 따라 △실버(재활용률 90∼94%) △골드(95∼99%) △플래티넘(100%) 등급을 부여한다.
LG화학 익산 양극재 사업장은 제조과정에서 사용 후 버려지는 세라믹 용기를 전량 재활용으로 전환해 지난해 발생한 폐기물 약 2,100t 가운데 96%를 재활용하고 매립율을 제로화(0%)하는데 성공했다.
나주 사업장은 생산공정에서 사용하는 세척액을 재사용하는 공정을 도입해 연간 폐기물 발생량을 약 63t 가량 절감했으며, 폐기물 모니터링을 통해 2018년부터 재활용률을 90% 이상으로 높게 유지하는 등 자원순환 노력을 지속해왔다.
국내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의 사업장 폐기물 재활용률 평균이 61% 수준임을 감안했을 때 인증을 획득한 익산·나주 사업장의 재활용률은 동종 업계 대비 약 30% 이상 높은 수준이다.
LG화학은 주요 사업장에 환경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폐기물 발생부터 처리까지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향후 사업장 신·증설 시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LG화학은 폐플라스틱에서 기름을 뽑아내는 열분해유 사업 등 경영활동 전반에서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나아가 협력사·물류·폐기물 등 간접배출 영역(Scope3)까지 환경영향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를 도입하는 등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LG화학 CSEO(최고안전환경책임자) 김영환 전무는 “LG화학은 탄소 감축을 위해 폐기물을 자원과 에너지로 전환하는 자원순환 과제를 적극 수행하고 있으며, 전 사업장에 대한 폐기물 매립 제로화 전략을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LG화학, 넷제로 실천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LG화학-도레이, 헝가리 분리막 합작법인 설립... 유럽시장 공략 나서
- LG화학, 고려아연 계열사 ‘켐코’와 합작법인 설립... 배터리 소재 경쟁력 강화
- LG화학, 中 B&M과 양극재 합작법인 설립... 배터리 소재 경쟁력 확대
- KIST, LG 화학 탄소중립 위해 뭉쳤다! 탄소중립 유망 기술 공동연구 나서
-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막는 ‘배터리 팩’ 소재 개발
- 재닛 옐런 美 재무부 장관, LG화학 방문... 배터리 소재 공급망 협력 논의
- LG화학과 GS칼텍스, 화이트 바이오 생태계 구축 위해 ‘맞손’
- LG화학, 암모니아 기반 청정수소 생산·활용 업무협약 체결
- LG화학, 녹수와 친환경 럭셔리 바닥재로 글로벌 시장 공략
- LG화학-연세대, ‘전지 소재 산학협력센터’ 설립 MOU 체결
- LG화학, 차세대 친환경 기술로 글로벌 시장 선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