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조창현 기자] 최근 미·중 패권다툼이 촉발한 기술주도권 확보 경쟁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국가간 기술·안보 동맹으로 번지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전략기술을 선정해 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이인실)은 반도체 등 전략기술 개발 및 원천·핵심특허 확보를 위해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대학·공공연을 대상으로 개별 기관 맞춤형 ‘특허 기반 연구개발’ 전략을 지원한다고 8월 30일 밝혔다.
전략기술은 초격차 전략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수소 3개 분야 17개 과제, 미래기술 선점을 위한 △첨단 이동수단(모빌리티) △인공지능·로봇 △사이버보안 3개 분야 17개 과제 등 총 34개 지원과제 및 기관을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34개 기관에 대해서는 특허전략 전문가와 특허분석기관으로 구성된 전담팀이 5.2억여건의 특허 빅데이터를 심층 분석해 장벽특허 대응전략과 최적 연구개발 방향, 우수특허 확보방안 등 종합적인 맞춤형·밀착형 특허전략을 제공할 계획이다.
특허청 정연우 산업재산정책국장은 “반도체 등 전략기술 확보는 국가 경쟁력 나아가 국가 존립에 직결되는 문제다”라며, “소부장·백신 위기 극복에 도움됐던 ‘특허 기반 연구개발’ 전략을 전략기술 분야로 확대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지원은 정부의 전략기술 R&D투자 기조에 맞춰 국가안보·공급망·신산업 등에서 중요한 6대 기술 분야 연구개발 효율화를 위해 진행하며,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대학, 공공연의 원천·핵심특허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중이다. 선정된 기관은 25개 중소·중견기업과 수소 분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 9개 대학·공공연이다.
한편, 특허 기반 연구개발 전략지원을 받은 과제서 창출된 특허 기술은 일반 연구개발 과제에서 창출된 특허기술 대비 산업계 활용가치가 높았다. 지난 5년간(2016~2020년) 우수특허·해외특허 등 질적 특허성과는 1.7~2.1배, 특허 이전율은 1.3배, 기술이전 계약당 기술료는 3.9배 성과를 보였다.
- [칼럼] 향후 50년을 내다보고 만들어가는 정책수립 및 추진 문화 혁신해야...
- 포항시 정호준 배터리특구T/F팀장 “배터리 리사이클링 중심 포항, K-배터리 메카로 육성할 것”
- 산업부, 12개 에너지 국제공동연구 과제에 213억원 지원
- 정부, 반도체 등 핵심 산업 기술유출 방지에 총력
- 출시 앞둔 ‘지문 인증 바코드 스캐너 시스템’…물류 업계 변화의 바람 불까
- 한덕수 국무총리, '2022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개막식 축사
- 9월부터 우리 기업의 프랑스 특허 획득 쉬워진다
- 5G 기반 ‘다중접속 엣지 컴퓨팅’, 치열한 기술 확보전
- 특허청, 배터리·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 지식재산 강화 지원
- EVG, 첨단 반도체 공정 혁신하는 ‘나노클리브’ 레이어 릴리즈 기술 발표
- 반도체·이차전지 등 ‘국가 핵심 기술’, 정책으로 뒷받침한다
- ‘에브리바이크’, 컨텐츠 모빌리티 신규 기능 업데이트
- 특허청, 중소기업 특허 수수료 감면 정보 담은 ‘중소기업 증명서류 안내서’ 배포
- 특허출원서류 손쉽게! 특허청, ‘출원서식 표준 사례집’ 발간
- 특허청, ‘올해의 발명왕’ 후보 신청
- 특허청, 대한변리사회와 '아이디어 자문단' 운영 업무협약 체결
- 특허청, 개정 상표법 시행…수수료 체계 합리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