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1위 코발트 생산기업 화유코발트와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을 통해 중국 내 최초의 한중 합작 배터리 리사이클 기업을 설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8월 7일, 중국 저장성에 위치한 화유코발트 본사에서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JV) 계약 체결식’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는 화유코발트 그룹 천쉐화(陈雪华) 회장, LG에너지솔루션 구매센터장 김동수 전무 등이 참석했다.
신규 합작법인은 배터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인 스크랩(Scrap), 수거된 폐배터리 등에서 핵심 원재료인 니켈, 코발트, 리튬 등을 추출한다.
중국 장쑤성 난징시, 저장성 취저우시에 각각 스크랩을 처리하고 폐배터리를 가공하는 전(前)처리 공장, 재활용 메탈을 처리하는 후(後)처리 공장을 세운다는 계획이다. 올해 본격적인 공장 건설을 시작할 예정이며 예상 가동 시기는 내년 말이다.
신규 합작법인이 생산하는 메탈은 이후 양극재 생산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난징(南京) 배터리 생산공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화유코발트의 리사이클 기술력을 활용해 자원 선순환을 통한 핵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 리사이클 부문의 고객가치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화유코발트 그룹 역시 글로벌 양산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춘 LG에너지솔루션과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리사이클 물량 확대와 판매처를 확보함으로써 규모의 경제 달성 및 사업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

양사는 또 향후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배터리 리사이클 사업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지속가능하고 안정적 배터리 공급망 구축을 위해서는 배터리 전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자원 선순환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화유코발트와 협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자원을 활용한 리사이클 부문의 고객가치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시장에서의 신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경쟁력 있는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확보하는 등 자원 선순환 고리 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7년까지 미국, 폴란드, 아시아 등 주요 생산 거점의 전 밸류체인에 걸쳐 유수의 업체들과 협력해 ESG 경영에 힘을 실을 예정이다.
- LG엔솔, 배터리 우수성과 공유 ‘제1회 산학협력 컨퍼런스’ 개최
- 민테크, Pre-IPO 140억원 투자 유치… LG엔솔과 연구개발 맞손
- LG엔솔, 美 IRA 대응 청신호… 세계 최대규모 리튬 구매계약 체결
- LG엔솔, 오픈 이노베이션 통해 ‘글로벌 미래 유니콘 기업’ 지원 나서
- LG엔솔, ‘BaaS’ 사업 확대 위해 수입차 공식 딜러 7개사 맞손
- LG엔솔, 호주 노보닉스와 투자계약 체결… 북미 배터리 공급망 강화 나서
- LG엔솔, 레드캡투어와 ‘전기차 배터리 관리 사업’ 맞손
- LG엔솔, 북미 지역 배터리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 LG엔솔, 2030년 10배 성장 내다보는 ‘미국 ESS 시장’ 공략 박차
- LG엔솔, 첫 글로벌 그린본드 10억달러 발행 성공
- LG엔솔, 토요타와 손잡고 북미지역 전기차 배터리 공급 나서
- LG엔솔, 3분기 경영실적 발표… 전년 동기대비 매출·영업이익 모두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