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조창현 기자] 탄소중립, 녹색성장을 위해 우리 정부는 2021년부터 재생에너지에 최적화된 송∙배전망 연계, AC-DC 통합 운영이 가능한 이동형 변전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재생에너지 연계 모바일 허브스테이션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모바일 허브스테이션은 재생에너지 수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력망 인프라다.

이에 LS일렉트릭(ELECTRIC)은 반도체변압기를 이용해 재생에너지와 계통 연계에 최적화된 메가와트(MW)급 충전시스템 개발·실증에 나선다. LS일렉트릭은 자사 글로벌R&D캠퍼스(Global R&D Campus)에서 한국전력공사와 ‘재생에너지 연계 모바일 허브스테이션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LS일렉트릭은 한전 전력연구원 보유 변전설비 운영 기술을 활용해 재생에너지 연계 모바일 허브스테이션을 실증한다. 구체적으로 LS일렉트릭은 올해 말부터 다음해 초까지 한전 고창전력시험센터 변전설비 실증시험장에서 154kV 실계통 연계를 통해 모바일 허브스테이션에 대한 최적 운영 알고리즘 개발과 탄소배출 저감을 통한 탄소중립 기여 효과 분석 등을 진행한다. 차세대 전력망 운영 기술을 확보하겠다는 게 주요 목표다.
특히 새롭게 진행하는 실증에는 반도체 기술이 적용된 22.9kV급 SST를 활용한 DC 배전을 통해 ESS,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가 용이하도록 돕는 충전시스템도 포함된다. SST는 Solid-State Transformer에 대한 약자로 반도체 변압기를 의미한다.
LS일렉트릭에 따르면 관련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 대비 무게와 부피를 각각 60%, 40% 수준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효율은 약 5% 향상해 시스템 구성은 단순화하고 설치면적 및 운영비용은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관련 시스템은 기존 전력공급 시스템에 포함되는 고압 배전반과 변압기, 전력변환장치를 시스템 하나로 구성할 수 있기에 설치 시간과 면적을 감소시켜 경제성 확보에도 도움이 될 솔루션으로 분석된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실증을 통해 SST를 이용한 메가와트급 충전시스템과 탄소중립 시대 대응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검증할 계획”이라며, “미래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부족한 전력계통 용량을 보완하기 위해 대용량 ESS와 연계가 필수적인 만큼, 반도체 변압기 기반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다가올 메가와트급 충전시스템 구축을 위한 최적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LS일렉트릭, 스마트물류 솔루션 사업 영역 확장 … 한국E&M 전격 인수
- LS일렉트릭, 인지이솔루션과 올인원 ESS 확대 사업 MOU 체결
- LS일렉트릭·다산에듀, ‘자동화의 컴퓨터’ PLC 전문인력 육성 나선다
- LS일렉트릭, 탑솔라와 컨소로 120MW 염해부지 태양광 사업자 선정
- LS일렉트릭-유니슨, 국산 풍력발전 기술경쟁력 강화 위해 ‘맞손’
- LS일렉트릭, 강소기업 KOC전기 인수해 글로벌 변압기 사업 확장 가속
- LS일렉트릭, 초고압 변압기 생산능력 2배 늘린다… “폭증하는 해외 수요에 적극 대응할 것”
- LS일렉트릭, 327억 규모 태국 철도 신호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
- LS일렉트릭 구자균 회장, 사우디 산업광물자원부와 사업 협력 논의
- LS일렉트릭, ‘차세대 ESS 플랫폼’ 앞세워 유럽 친환경 전력시장 공략
- HD현대일렉트릭, 유럽 최대 전력수출국 스웨덴서 첫 수주 성공
- LS일렉트릭, 차세대 ESS 패키지 솔루션 공개… 북미 ESS 시장 공략
- 창립 50주년 맞은 LS일렉트릭, ‘Beyond X’로 100년 기업 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