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가운데)이 지난 20일 서울 SK서린사옥에서 열린 ‘이천포럼2025’ 폐막 세션에서 구성원들과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있다. /사진=SK그룹
최태원 SK그룹 회장(가운데)이 지난 20일 서울 SK서린사옥에서 열린 ‘이천포럼2025’ 폐막 세션에서 구성원들과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있다. /사진=SK그룹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구성원 개개인이 인공지능(AI)을 친숙하게 가지고 놀 수 있어야 혁신과 성공을 이룰 수 있다”고 AI 체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1일 SK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전날(20일) 서울 SK서린빌딩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 마무리 세션에서 “이제는 AI/디지털 전환(DT) 기술을 속도감 있게 내재화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만들어야 하는 시대”라며 ‘AI시대 경쟁력 확보 방안’에 대해 이같이 주문했다.

최 회장은 특히 “앞으로는 현재 우리가 하는 업무의 대부분이 AI 에이전트로 대체될 것”이라며 “사람은 창조적이고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번 이천포럼의 마무리 세션은 최태원 회장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한 SK 구성원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AI/DT, 운영개선, 지속가능한 행복에 대한 생각을 밝히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날 현장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최재원 수석부회장,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 그리고 SK 구성원을 대표해 현장에 참여한 ‘프론티어(Frontier)’ 구성원 등 170명이 자리를 함께 했다. 총 2800여 명의 온라인 참여자도 실시간으로 질문과 의견을 달며 동참했다.

최 회장은 SK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운영개선(O/I·Operation Improvement)에 대해 “운영개선은 회사의 기초체력을 키우는 일이며, AI 세상이 왔으나 기초 체력이 없다면 그 위에 쌓아 올린 것은 결국 무너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AI 시대 본원적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일상적인 오퍼레이션을 충분히 이해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사람마다 행복이 다르지만 결국 공통된 행복을 키워가자는 게 SKMS(SK 경영관리 시스템)의 목표”라며 “지속가능한 행복을 위해 모두가 자발적 의욕적으로 ‘스피크 아웃(적극적 의견 개진)’하며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SKMS는 구성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회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행복을 동시에 고려하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올해 9회째를 맞은 이천포럼은 최태원 회장이 2017년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할 변화추진 플랫폼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시작된 SK의 대표적인 연례 행사다. 국내외 석학과 전문가는 물론 SK 구성원이 적극 참여해 글로벌 산업 트렌드와 혁신기술, 미래 사업 방향을 집중 토론하는 자리다.

올해 행사에는 전 마이크로소프트(MS) AI 담당 부사장이자 AI 전문 컨설팅사인 딕비의 윌리엄 퐁 최고전략책임자와 모하마드 알리 IBM 수석부회장 등 AI 전문가들이 AI 생태계 확장 방안과 산업 현장 혁신 사례에 대해 발표하고 SK 멤버사와 함께 자유롭게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난 19일에는 SK 각사별로 워크숍을 갖고 AI를 비롯한 미래 전략은 물론 SKMS 실천 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집단지성으로 문제해결 방안을 찾고 실행력을 강화하자는 최태원 회장의 제안에 모든 구성원이 참여해 머리를 맞대고 해법찾기에 나선 셈이다.

SK그룹 관계자는 “누가 먼저 발빠르게 움직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느냐 하는 ‘변화의 속도’가 기업의 생존을 가르는 시대”라며 “정체는 사실상 퇴보와 같다는 절박함 아래, 앞으로도 SK 그룹은 다양한 지식·변화·소통 플랫폼을 만들어 미래를 준비하고 선도해 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