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박현우 기자] SK이노베이션이 자체 개발한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BMR) 라이선싱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다고 17일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KBR 가우탐 크리슈나이아 CTO,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김필석 원장이 16일(현지시간) 포르투칼에서 열린 패스트마켓의 컨퍼런스에서 수산화리튬 회수 기술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KBR 가우탐 크리슈나이아 CTO,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김필석 원장이 16일(현지시간) 포르투칼에서 열린 패스트마켓의 컨퍼런스에서 수산화리튬 회수 기술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전날 포트루칼에서 열린 배터리 소재 컨퍼런스(패스트마켓 컨퍼런스)에서 미국 엔지니어링 기업 KBR과 라이선싱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KBR은 SK이노베이션의 BMR과 자사의 고순도 결정화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시장에 판매하고, SK이노베이션은 이에 따른 로열티 수익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KBR은 약 3만4000명의 임직원과 80여개국 글로벌 네트워크, 약 70억달러 연매출 규모로 에너지·석유화학·국방·산업·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기술과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SK이노베이션은 2017년부터, 연구진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정유·석유화학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을 접목해 기존 리튬 회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차별화된 BMR 개발을 시작했다.

김필석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원장은 첫 날 기조연설을 맡아 글로벌 전기차 및 배터리산업의 성장으로 인한 자원 확보의 제약과 환경 규제 등을 설명하며, SK이노베이션이 개발한 BMR 기술이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김 원장은 "SK이노베이션의 혁신적인 리튬 회수 기술로 EU 배터리법의 의무 회수율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며, 회수된 리튬으로 생산된 배터리 성능도 이미 검증을 마쳤다"고 말했다.

KBR 가우탐 크리슈나이아 CTO는 "SK이노베이션의 리튬 회수 기술은 기존 습식, 건식, 탄소환원 기술보다 뛰어난 경제성을 보유하고 있다"며 "시너지를 이뤄 사업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