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대사 산정 시 실비정액가산방식으로 변경
[인더스트리뉴스 방제일 기자] LH의 이번 산정기준 발표 내용의 주요 골자는 사업지구의 도시개발 컨셉, 지역특성, 사업여건 등을 고려해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스마트시티 전략계획(SSP, Smart-city Strategy Planning)’의 용역대가 산정 시 실비정액가산방식으로 변경한 것이다.
![[사진=dreamstim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7/25038_16013_4616.jpg)
실비정액가산방식이란 직접인건비, 직접경비, 제경비, 기술료 등을 합산해 용역대가를 산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제까지 스마트시티 전략계획 용역대가는 표준품셈의 부재로 소프트웨어사업의 정보화전략계획(ISP) 대가 산정기준을 준용해 사업규모 등과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산정해 왔다.
LH는 사업규모, 지구여건을 반영한 과업량 보정계수를 도입해 실제 과업 내용에 따른 차질없는 수행이 가능하도록 용역비를 현실화하는 데 노력했다. 그 결과 스마트시티 전략계획의 대가는 10~30만㎡ 규모를 기준으로, 종전 대비 약 18~56% 상향 조정됐다.
아울러 실시설계용역의 대가도 산정계수 등의 변경을 통해 상향조정됨에 따라 공정하고 합리적인 대가산정이 가능하게 됐다.
이번 개정은 스마트시티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적정대가가 반영돼야 향후 스마트시티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 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이뤄졌다.
LH는 앞서 작년에도 도시개발 목적과 컨셉에 맞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스마트시티계획 수립용역 입찰참가를 정보통신 분야와 더불어 도시계획 분야도 가능하도록 참가자격을 확대한 바 있다.
LH 김수일 스마트도개발처장은 “용역발주 시스템의 재정비가 관련 업계와의 동반성장을 꾀해 공정한 시장질서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는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 LG CNS, IoT 결합형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출시해 스마트 시티 선도
- LH, 스마트시티에 ‘에너지거래 시범사업’ 도입 추진
- 수원시, 모든 공공청사에 'IoT 통합 에너지관리 시스템' 구축
- KT, 7월부터 태양광 O&M 시장 진출한다
- NSOK, 스마트 IoT로 고성 하이화력발전소 안전사고 예방한다
- 대구·시흥,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실증도시로 선정
- 대구시 ‘지능형 상담 시스템’, 최우수 스마트시트 프로젝트로 선정
- LH, 인도 스마트시티 사업 진출 교두보 확보
- 농촌마을 복지 위한 태양광 불 켜다
- LH, 도시문제 해결 위한 ‘글로벌 스마트안전도시 챌린지’ 제정
- LH, 친환경‧미래에너지 발굴사업 본격 추진
- 지능형 계량기 활용해 에너지 효율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