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교류와 공동투자재원 조성 계획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사장 이학수)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7월 31일 한국서부발전과 ‘신재생에너지 개발 협력 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한국수자원공사 수상태양광 개발협력 및 공동투자재원 조성, 수상태양광 공급인증서의 거래, 수상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교류 등이다. 수상태양광은 댐과 호수 등의 수면 위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시설이다. 수면을 활용했기 때문에 위치 선정과 건설비 부담이 적고, 수온으로 인한 냉각 효과로 발전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지난 2017년 준공한 충주댐의 3MW급 수상태양광발전 시설은 4인 가족 기준 연간 94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4,031MWh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이는 6,730배럴의 원유수입을 대체하고, 약 1,88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양이다.
이번 협약으로 한국수자원공사의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에 한국서부발전이 공동 사업자로 참여한다. 양 기관은 전력 및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구매계약을 체결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다각적인 협력을 맺는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란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면 정부에서 발급하는 인증으로, 1MWh를 생산하면 1REC가 된다.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이행에 꼭 필요한 인증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한국서부발전과 협력해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잠재자원 개발을 늘리고, 2022년까지 수상태양광 550MW를 개발해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정책을 적극 이행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수상태양광 발전 사업에 지역주민이 투자자로 참여해 발전수익을 공유하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내년부터 추진해 신재생에너지와 지역경제 중심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연계할 방침이다.
한국수자원공사 이학수 사장은 “이번 협약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앞장서 온실가스 감축과 국가 친환경 에너지산업 발전에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한국수자원공사, 1회용품 줄이기 노사공동 서약
- 태양광 수요, 이제 수상태양광으로 몰려든다
- 한국수자원공사, 대기환경 개선 위한 환경에너지센터 조성 나서
- 표류하는 수상태양광 '예외조항' 신설 필요하다
- 서부발전, 수자원공사와 수상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공동 개발
- 행안부,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위한 감면 혜택 제공
- 수자원공사, 남아시아 8개국에 신재생에너지 개발 경험 전수
- 서부발전, ESS 및 신재생설비 특별안전점검 시행
- 서부발전, 케냐 지열발전 운영·정비사업 수주
- 수자원공사, 신재생에너지 중소기업의 필리핀 진출 돕는다
- 세종시에 스마트워터시티 조성된다
- 한국수자원공사, 파키스탄에 신재생에너지 기술 전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