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말 해상풍력 사업에 상용화 가능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유니슨(대표 류지윤)이 대형 해상풍력사업 진출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8MW급 해상풍력용 발전기 개발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9일 공시했다.
국내에서 상용화된 해상풍력 발전기는 3MW 정도이며, 8MW급 풍력발전기 개발은 국내 최대규모다. 이번 사업은 2018년 10월부터 2022년 9월까지 48개월 간 진행되며, 총 사업비는 약 290억원으로 이 중 국책지원비는 199억원이다.
![[]](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11/27927_19691_3127.jpg)
유니슨 관계자는 “이번 개발되는 8MW 발전기는 직접구동형(Direct-Drive)으로, 로터(Roter)와 발전기(Generator) 사이에 기어(Gear)가 없는 구조”라며, “직접구동형은 고장이 적고,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 세계적인 기술 추세로 분할모듈(Module)형으로 설계한다”고 말했다. 이어 “분할모듈형은 발전기를 여러 조각으로 제작 및 운송해 해상설치 현장에서 조립완성하는 방식”이라며, “분할모듈식은 제작원가와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해상운송 및 설치도 용이하다”고 밝혔다.
또한 유니스 관계자는 “유니슨은 750kW를 시작으로 2MW, 2.3MW, 4.2MW 풍력발전기를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한 바 있다”며, “2022년말 8MW 기술까지 확보되면 풍력발전 선진국들과도 기술격차가 해소돼 국내 해상풍력사업뿐만 아니라 수출경쟁력도 한층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8MW 기술은 10MW급 이상 초대형 해상풍력발전 기술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4.2MW급 육‧해상공용 풍력발전 국내최초 출시
- 해상풍력, 2020년 이후 본격화…10년 내 국제 경쟁력 갖춘다
- 북한 내 풍부한 풍력자원이 경협의 무대 된다
- 수익성 높아진 대규모 해상풍력에 시선 집중
- 경남, 풍력산업 육성에 힘 모으고 재료연구소의 원 승격 추진
- 한국전력기술, 캐나다 노스랜드파워와 해상풍력사업 협력
- 울산시,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사업’ 민간투자사 참여 가시화
- 풍력발전 활성화 및 업계 애로해소를 위한 제도 개선 추진
- 유니슨, 강릉과 봉화에 새 풍력프로젝트 시동
- 산업부, 2019 서울 세계재생에너지총회 추진위원회 개최
- 유니슨, ‘영광풍력발전단지’ 준공으로 국내풍력 1등 입증
- 유니슨 '풍력터빈 U136', 국제 인증 이어 국내 KS인증 획득
- 유니슨, 신규풍력발전단지개발사업서 ‘EPC 주관사’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