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5월 30일, 경기도 시흥에서 산업부 차관을 비롯해 로봇기업, 수요기업, 전문연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조로봇 보급 확산과 제조업 혁신을 위한 ‘제조로봇 전국투어 1차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05/32372_25897_341.jpg)
그간 우리나라는 자동차, 전기·전자 업종에서 높은 제조로봇 활용도를 보이고 있으나, 고위험·고강도 작업환경으로 인력수급 불안정을 겪고 있는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등 협력기업과 뿌리, 섬유, 식음료 분야는 상대적으로 제조로봇 활용이 높지 않았다.
그러나 로봇 도입이 시급한 수요기업은 제조로봇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로봇 도입에 애로가 있었고, 로봇기업은 제조로봇 도입을 원하는 적극적인 수요처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산업부 관계자는 로봇기업과 수요기업 간 소통의 장을 마련해 로봇 도입 효과에 대한 수요기업의 이해 증진을 위해 이번 설명회가 개최됐다며, 공급기업의 제조로봇 시장 확대와 수요기업의 생산성 향상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05/32372_25898_41.jpg)
이번 행사에서는 설명회에 참석한 수요기업의 이해도와 체감도를 제고하기 위해 실제 제조로봇을 도입해 효과를 거둔 기업이 로봇 도입 배경, 도입 과정, 도입 효과 등 로봇활용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또한, 로봇기업이 협동로봇 등 제품 소개와 로봇 적용사례를 설명하고, 로봇 관련 연구원에서도 성공적인 로봇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 등 로봇 도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공유했다.
이어 정부가 지난 3월에 발표한 ‘로봇산업 발전방안’에 따른 다양한 제조 공정별 로봇 표준활용모델 개발과 제조로봇 선도보급, 로봇 운영인력 교육에 대한 계획을 설명하고, 초기 투자비용 부담으로 로봇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에게 필요한 금융지원 프로그램도 소개됐다.
산업부 정승일 차관은 “이번 1차 설명회를 시작으로 동대문, 안성, 창원, 안산 등 각 업종별 기업들이 밀집한 제조현장을 로봇기업과 함께 찾아갈 계획”이라고 말하며, “두 번째 개최지인 동대문에서는 동대문프로젝트에 협동로봇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 봉제, 의류 등 섬유업종에 로봇 보급을 확대하는 내용으로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미쓰비시전기, 스마트팩토리에 적용되는 ‘AI’ 스피드·수용성이 관건
- 스마트공장으로 사람 중심의 일터문화 실현한다
- 정부, “미래 먹거리로 로봇산업 집중 육성”
- 4차 산업혁명 실현을 위한 경남 로봇산업 발전 방안
- ‘로봇 신전략’으로 세계 로봇산업 선도하는 일본
- 산업부, ‘400억’ 투자펀드 통해 수소·인공지능·빅데이터 산업 육성 나선다
- 에너지 전환 ‘혁신’ 외친 한국, 현재는 ‘빨간불’
- 여전히 부족한 신산업 기술인력…범정부 대책 마련 시급
- 산업부, 섬유·패션의 메카 동대문에서 제조로봇 설명회 개최
- 러시아 강타한 K맥주 ‘하이트’...상반기 판매량 전년 대비 140% 증가
- 유니버설로봇, 고유의 생태계 갖춰… 자동화 구축 성공률 높인다
- 디비밸리, 자체 기술력으로 자동차부품사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시장 선도
- 시도별 2020년 지역산업진흥계획 확정… 산업부-중기부 ‘지역경제위원회’ 열어
- 우수로봇기업 대상으로 저금리 대출지원 개시
- 제조혁신 가속화 위해 올해 ‘로봇’ 1,500대 보급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