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후속조치로 국내 모든 원전에 설치를 추진했던 ‘격납건물 여과배기설비(CFVS)’ 설치 재검토(백지화)로 인해 약 575억원의 예산이 낭비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이 지난 10월 14일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사진=박범계 의원실]](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910/34888_29510_5759.jpg)
지난 10월 14일 국회 본관에선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에너지 공기업 국정감사가 진행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2019년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속조치로 ‘격납건물 여과배기설비(CFVS)’ 설치를 추진 중이었다.
그러나 사고관리계획서 법제화에 따라 ‘대체설비’로의 변경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해 필수대처설비인 고유량 이동형 펌프를 활용한 ‘대체살수’로 변경 적용방안을 원안위에 제출했고, 현재 변경계획의 행정적 조치를 수행중에 있다고 알려왔다. 한수원은 국감이후 이사회를 열어 이 계획을 최종 승인할 예정이다.
그러나 한수원에서는 이미 지난 6년 동안 가동원전 22기의 CFVS 설계 및 제작에 약 575억원의 예산이 집행돼 이 비용에 대한 책임논란이 뜨거울 전망이다. 당초 한수원에서는 CFVS 설치 시 설계, 제작, 시공 비용을 모두 합해 2,242억원의 예산이 집행될 예정이었다.
박 의원은 이에 대해 “중복설비로 인한 예산낭비는 없어야 한다”며, “한수원은 이미 투입된 매몰비용에 대해서 책임지고 재발방지 대책을 확실히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 [2019 국감] 예금보험공사, 은닉재산 회수 감소 추세…정책 홍보 ‘시급’
- [2019 국감] 발전 부품 국산화, ‘실증 지원’도 동시에 이뤄져야
- [2019 국감] 국제적 기후변화 대응 흐름… 석탄화력발전 대출은 증가
- [2019 국감] 김성환 의원 “석탄발전 환경조성하는 에너지시장, 변화 필요”
- [2019 국감] 중소기업 800억원대 전기료 절감 가능… 산업용 경부하요금 올려야
- [2019 국감] 조배숙 의원, 소규모전력중개시장 활성화 시급
- [2019 국감] 김성환 의원, 에너지자립섬 사업 실패 요인 보완해야
- [2019 국감] 산단공 경영실태 쓴소리… 생산·수출·가동률 모두 하락
- [2019 국감] 스마트공장 보급 성과 허수? “정확한 평가지표 적용해야”
- [2019 국감] 석탄가동 중단 시, '전기요금 1조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
- [2019 국감] ‘오락가락’ 산업부, 태양광 폐모듈 재처리 정책 ‘질타’
- [2019 국감] 성윤모 장관 “한전 적자, 탈원전 아닌 고유가로 인한 적자”
- [2019 국감] REC 폐기량 매년 증가… 지자체 물량, 예산낭비 우려
- [2019 국감] 조배숙 의원, “3MW 초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개시율 고작 6%”
- [2019 국감] 백재현 의원, “태양광·풍력 환경 훼손하고 있다는 것은 과대 포장이며 왜곡”
- [2019 국감] 태양광 REC거래 대규모사업자에 68% 편중
- [2019 국감] 이훈 의원, ESS 화재 원인 LG화학 자발적 리콜 필요성 제기
- [2019 국감] 산업부 ESS 정책 ‘집중포화’… 대책 마련 ‘시급’
- [2019 국감] 원자력 발전 ‘미지불 비용’ 존재… ‘비효율’ 지적 쏟아져
- [2019 국감] “무조건적인 노후 석탄발전소 폐지보단 예비군 개념으로 유지해야”
- [2019 국감] 기업은행‧산업은행, 공실 임대료 손실 183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