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두산은 2월 14일, 지난해 매출 18조5,357억원, 영업이익 1조2,61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두산밥캣, 두산인프라코어 등 자회사의 꾸준한 실적 호조와 두산건설의 영업이익 흑자 전환 등의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각각 6.2%, 7.3% 성장했다.
두산은 자체사업 실적을 가늠할 수 있는 자체사업연결기준(잠정)으로 지난해 매출 2조8,349억원, 영업이익 2,271억원을 기록했다. 전자(CCL), 산업차량(지게차) 사업의 실적 호조를 바탕으로 전년대비 매출은 6.5%, 영업이익은 9.7% 늘었다.
![[]](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002/36910_32150_2340.jpg)
두산중공업은 연결재무제표기준(잠정) 매출 15조6,597억원, 영업이익 1조769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대비 6.1%, 7.3% 증가했다.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 영향이 컸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연결재무제표기준(잠정) 매출 8조1,858억원, 영업이익 8,404억원을 기록했다. 현재 영위하고 있는 건설기계 및 엔진 사업부문에서 달성한 최대 매출로 전년대비 5.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사상 최고치였던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두산밥캣은 매출 38억6,900만달러, 영업이익 4억1,700만달러를 달성했다. 매출은 주요 선진시장 판매 호조로 전년대비 7.2%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신제품 출시 관련 비용 및 원재료비 상승으로 전년대비 1.9% 감소했다. 원화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원화약세 효과로 각각 전년대비 13.6% 증가한 4조5,096억원과 3.9% 증가한 4,770억원을 기록했다.
두산건설은 토목 및 건축 사업본부의 매출이 전체적으로 성장해 전년대비 15% 증가한 1조7,81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810억원으로 전년도 522억원 손실에서 흑자전환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분사한 두산퓨얼셀과 두산솔루스는 각각 10일과 12일 2019년 4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두산의 두산퓨얼셀과 두산솔루스 지분은 20% 미만(16.84%)으로 두산 실적에 반영되지 않는다.
두산퓨얼셀은 4분기 매출은 2,212억원, 영업이익은 195억원이다. 연간 수주는 1.2조원을 달성하며 2년 연속 신규 수주 1조를 기록했다. 두산솔루스는 4분기 매출 700억원, 영업이익 102억원을 기록했다. 하반기 전지박 양산에 들어가는 두산솔루스는 올해 매출 목표를 지난해보다 27% 늘린 3,340억원으로 계획했다.
-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세계은행 주관 ‘아프리카 드론 포럼’서 수소드론 첫선
- 두산밥캣, 원격조종 기술… 북미 전문지 선정 ‘2019 최고 혁신제품’
- [산업용 로봇 특집]①- 두산로보틱스, 국내 유일 조인트토크센서 장착… 섬세함과 속도 모두 잡는다
- 두산-MS, 수소연료전지 드론 솔루션 개발 위한 협약 체결
- 두산, CES 첫 참가… CES 2020에서 두산이 지향하는 미래상 선보인다
- 두산솔루스, 일천억 규모 전지박 장기공급계약 체결
- 두산그룹, “3조원 이상 자구노력 통해 두산중공업 조기 정상화 추진”
- 두산, 채권단 1.2조원 추가 지원 결정… 두산중공업 유동성 문제 해결 기대
- 두산밥캣, 유럽 시장 겨냥한 역대 최다 제품들 온라인상 선봬
-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 ‘글로벌 톱’ 자율이동로봇 국내 독점 공급
- 두산중공업, 제주 풍력발전 전기 이용해 수소 생산… 탄소배출 ZER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