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형우 기자] 한국가스공사(사장 채희봉)는 5일 노후 경유 트럭을 친환경 LNG 트럭으로 전환하기 위한 관련 고시 개정을 마치고 국내 첫 번째 LNG 튜닝카 검사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가스공사는 지난해 11월 한국교통안전공단과 ‘청정연료 LNG 튜닝카 보급 활성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고 경유 엔진을 LNG로 교체하는 데 필요한 조건과 절차, 문제점 교차 검토 및 제도 개선에 힘을 쏟아왔다.
현재 경유 엔진은 효율이 높아 주로 고출력이 요구되는 트럭 등 대형차에 주로 사용되지만, 엔진이 노후화되면 미세먼지 발생량이 많아져 수송 부문의 주요 미세먼지 발생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처럼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경유 자동차의 연료를 청정 LNG로 튜닝(구조변경)하는 방안이 미세먼지 감축 대책의 하나로 부각돼왔다.
LNG 차량 튜닝에는 경유와 천연가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혼소 방식'과 천연가스만을 사용하는 '전소 방식'이 각각 사용된다.
이 중 전소 방식은 혼소 방식보다 제어가 쉽고 고장률이 낮은 장점이 있으나, 경유 엔진을 유사 규격의 천연가스 엔진으로 교체할 경우 출력이 낮아져 '동등 이상의 출력을 갖는 엔진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기존 고시 규정(자동차 튜닝에 관한 규정,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991호)에 부합하지 않아 그동안 튜닝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가스공사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의 노력으로 지난 5월 27일 해당 고시가 개정돼 기존 경유 엔진을 천연가스 엔진으로 교체 튜닝할 수 있는 길이 열림으로써 향후 본격적인 LNG 차량 저변 확대에 한층 탄력이 붙게 됐다.
특히 가스공사가 중점 추진할 'LNG 충전 인프라 확충'은 물론 한국교통안전공단이 국내 튜닝부품 업체의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튜닝 비즈니스'를 통해 관련 중소기업 지원 및 일자리 창출도 기대된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앞으로 트럭뿐만 아니라 건설장비로 분류된 콘크리트 믹서트럭도 LNG로 전환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우리나라 수송용 미세먼지 대책을 한 단계 끌어올려 국민 에너지 복지를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남동발전, ‘세계 환경의 날’ 맞아 ‘3-Green 캠페인’ 펼쳐
- 당근마켓, ‘환경의 날’ 맞아 환경보호 이벤트 진행… “온실가스 줄여요!”
- 케이웨더-서초구, ‘클린 서초’ 프로젝트… 청정위생 공간 관리기준 만든다
- 서울시, 시민 랜선 참여로 2,500그루 나무 심게 돼
- 인천공항-산림청·푸른아시아, 몽골에 저탄소 마을 구현한다
- 기후변화센터, EU 탄소국경조정 관련 이해관계자 1차 간담회 개최
- 환경실천연합회, ‘리틀 포레스트 서포터즈’ 모집
- 기후변화센터-에너지공단-남동발전, 기후변화대응 해외사업 업무 협약
- 전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1,209만톤 감소… 배출권거래제 시행 후 처음
- 현대로템, 수소 충전인프라 신사업 진출… 2022년 매출목표 1100억
- 미세먼지 원인규명 나선다… 과기부, 중장기 R&D 전략 수립
- 현대차, 언택트 레이스 ‘2020 롱기스트 런’ 시작
- 강남구, 청담역 미세먼지프리존… 시민공간으로 업그레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