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경기도가 올해부터 정부에서 추진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에 도비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도내 스마트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한다.

4월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대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노하우를 도내 중소·중견기업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올해부터 ‘경기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도는 스마트공장 신규구축에 최대 4,200만원, 고도화에 최대 6,000만원을 추가 지원한다. 스마트공장을 새로 짓는 신규구축의 경우 정부의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은 최대 1억원에 대해 6,000만원을 지원한다. 정부, 대기업, 기업자부담이 3:3:4 비율이다. 고도화 사업의 경우도 최대 1억6,700만원에 대해 마찬가지로 3:3:4의 비율로 지원된다.
경기도 추가 지원은 1억원이 넘는 경우에 최대 7,000만원까지 해당한다. 예를 들어 총 신축 비용이 1억7,000만원일 경우 1억원을 제외하고 추가된 7,000만원의 60%인 4,200만원을 경기도가, 나머지 40%인 2,800만원을 기업이 부담하면 된다. 고도화 사업은 국비 최대 지원액인 1억6,700만원을 넘는 경우에 최대 1억원까지 60%를 도가 지원한다. 예를 들면 2억6,700만원 규모의 사업이면 추가되는 1억원의 60%인 6,000만원을 경기도가, 40%인 4,000만원을 기업이 부담하면 된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 등 대기업 전문 멘토를 통해 제조환경을 개선하고 스마트화 지원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경력 15~20년의 현장경험이 풍부한 삼성전자 직원이 중소·중견기업에 2개월 내외로 상주하며 스마트화가 가능하도록 지도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방식이다.
도는 도내 스마트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진행해 구축사업비와 지원요구사항, 스마트공장 구축 관련 현장의 어려움을 파악한 뒤 사업추진에 반영할 예정이다. 수요조사서 접수는 4월 6일부터 경기테크노파크 홈페이지에서 제출서류를 확인한 뒤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경기도 임문영 미래성장정책관은 “경기도는 지난해 말 삼성전자와 대기업-중소·중견기업 상생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동반성장 기틀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대기업 멘토를 적극 활용해 보다 효과적이고 전문성있는 제조혁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준비단계의 영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자동화 장비 등 스마트공장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을 2019년부터 추진중이며, 올해도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참여기업 모집을 진행중이다. 경기테크노파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 경기도, 세이프 스마트팩토리 기술개발 사업 순풍
- 경기도, 인공지능 정책자문단 발족…인공지능 정책 발굴 본격화
- 경기도, 광주·부산과 함께 인공지능을 활용한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추진
- 스마트제조혁신 지원, 생태계 중심으로 확장…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본격화
- 중기부, 2021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사업 통합 공고… 총 4,376억 지원
- 경기도, 안성 테크노밸리 일반산단 조성사업 산단계획 승인
- 판교 약 7km 구간,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지정… 자율주행 기반 교통서비스 실증 가능
- 경기도, 포항공대 등 4개 대학과 자율주행 공동 연구… 공공데이터 활용 업무협약
- 경기도, 패스트트랙으로 신재생에너지산업 키운다
- 경기도, ‘기업SOS포럼’서 경영애로 해소 등 공정상생 기업 정책 모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