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친환경·신에너지 사업에 집중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를 선언한 SK건설이 수소산업 활성화를 위해 발벗고 나섰다.
SK건설은 지난 4월 9일 서울 종로구 지플랜트(G.plant) 사옥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과 수소산업 활성화를 위한 ‘수소 및 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 협력 강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SK건설 안재현 사장과 한수원 정재훈 사장 등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해 친환경 수소·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 추진에 뜻을 모았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에너지자립형 및 RE100 사업 개발·추진 △수전해 기술(SOEC) 기반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화 △연료전지(SOFC) 기반 융복합사업 해외 진출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국내 최초 RE100 플랫폼 구축 및 실증사업인 ‘창원 산업단지 에너지 자급자족형 인프라 구축사업’에 고효율의 신재생에너지 공급과 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주관사인 SK건설을 포함해 SK㈜ C&C 등 6개사가 참여한 창원SG에너지 컨소시엄이 맡고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자급자족이 가능한 친환경·저탄소 사업모델을 발굴·운영하고, 후속 스마트 그린산단 등 에너지 융복합사업에도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SK건설은 미국 블룸에너지(Bloom Energy)와 공동 개발 중인 수전해 설비(Solid Oxide Electrolyzer Cell, SOEC)를 한수원의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태양광 등과 연계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실증사업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양사는 연료전지 합작법인 ‘블룸SK퓨얼셀’을 통해 국내에서 생산 중인 세계 최고 성능의 연료전지(SOFC) 기반 융복합사업의 해외 진출에도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국내 부품 제조사의 해외 수출과 동반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K건설은 ESG를 경영의 새로운 핵심 가치로 삼고 지난해부터 친환경·신에너지 사업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1위 종합환경기업인 환경시설관리(구 EMC홀딩스) 인수를 통해 환경산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했고, 신에너지 사업으로 수소연료전지, 그린 리노베이션, 신재생 등 친환경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다.
SK건설 안재현 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친환경 사업을 더욱 확장하고, 정부의 그린뉴딜 및 탄소중립 정책에 발맞춰 SK건설이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 ‘ESG 경영 강화’ SK건설, 태양광 사업 위해 솔라커넥트와 ‘맞손’
- 알루이엔씨, 20년 ‘커튼월’ 업력에 10년 ‘BIPV’ 더해 ZEB 시대 선도
- SK건설, 건설사 최초 공모 녹색채권 수요예측 흥행 성공
- SK건설, 발전소 현대화 사업 통해 우즈벡에 친환경 DNA 심는다
- 한국에너지공단, ‘해외진출 플랫폼’ 제1호 사업 성공사례 확보
- SK건설, ‘ESG 경영’ 행보로 친환경 사업 투자 나서
- SK건설, ‘과천 위버필드’ 주민공동시설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 인증 획득
- 두산중공업-SK건설,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 협력 MOU 체결
- SK그룹 8개사, 국내 최초 ‘RE100’ 가입 신청… 미래 경쟁력 강화 핵심으로
- 이제는 창문에 태양광 설치한다… 국내 3사, 아파트 창문형 태양광 출시
- 2050 탄소중립 수소경제 분야, 첫 산학연관 채널 가동
- SK건설, 탄소 배출 없는 수소연료전지 시대 연다
- SK건설, 충남 서산에 친환경 산업단지 조성한다
- 한수원, 주민과 개발이익 공유하는 200MW 태양광발전 추진
- 한국수력원자력·창원시, 세계 최대 규모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