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충청남도(도지사 양승조)가 최근 환경부로부터 ‘충청남도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의 최종 승인을 받아 본격 추진에 나선다고 지난 7월 15일 밝혔다.
충청남도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은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금강유역환경청이 수립한 ‘중부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의 이행을 위해 수립한 세부 추진 계획이다.
도는 지난해 중부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관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모아 시행계획 최종안을 마련해 올 1월 금강유역환경청에 제출, 이달 초 최종 승인을 받았다.
시행계획은 ‘깨끗한 공기, 푸른 하늘 더 행복한 충남’을 비전으로 2020∼2024년 총 5년간 추진한다. 시행계획에는 금산군을 제외한 도내 14개 시군에서 △초미세먼지 16㎍/㎥ △미세먼지 34㎍/㎥ △질소산화물 0.014ppm △오존 0.060ppm 등을 달성하기 위한 5개 부문 60개 실행 과제를 담았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산업 배출시설 부문에서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지 및 상한 제약 △발전소 저탄장 및 회처리장 옥내화 등을 중점 추진한다.
도로 이동 오염원 부문에서는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지원 및 운행 제한을, 비도로 이동 오염원 부문에서는 △건설기계·농기계 관련 저공해 사업 △선박 육상 전원 공급 장치 확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생활 오염원 부문에선 △저녹스 보일러 설치 지원 △주유소 유증기 회수 설비 지원 △사업장 비산먼지 관리 등에 나선다.
정책 기반 강화 부문은 주민 참여 유도를 위한 인식 제고, 역량 강화를 위한 각종 환경 교육 등을 진행한다.
도는 실행 과제 추진에 총 1조4,21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5년간 초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59만3,624t을 감축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시행계획을 바탕으로 도내 대기오염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라며,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고 도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앞으로 부문별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 충남도 농업분야 ‘탄소중립실현 TF’ 출범
- “지속가능한 미래 청년과 함께 그려요!”
- 태안 폐염전, 태양광발전단지로 거듭난다… 국내 최대 규모
- 세계가 주목하는 충남도의 ‘탈석탄 정책’… PPCA 정상회의서 정책 소개
- 충남도, ‘주민수익형’ 마을 태양광발전소 사업 추진… 선순환 구조 구축
- ‘충남, 경기, 인천’ 서해안권, 미세먼지 감축에 힘 모은다
- 충남도, 수소차 구매제한 해제 및 충전소 확대로 ‘수소경제 실현’ 추진
- 충남도, 화력발전 주변 영아 가정에 공기청정기 전달
- 중금속 대기 오염도, 솔잎으로 측정한다
- 충남도 이제식 에너지과장, “에너지 전환으로 경기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기여”
- 충남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50% 감축”
- 충남도, 숲 조성 사업 본격화
- 충남도 인재개발원, 태양광 설비 운영해 전기요금 연 2200만원 절감
- 충남도, 전 직원 대상 ‘탄소중립과 충남의 역할’ 비대면 환경교육 진행
- 충남도농업기술원, ‘내 나무 심기, 탄소중립 실천 캠페인’ 전개
- 충남도, 환경기초시설에 태양광발전소 설치량 높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