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정부가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과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13대 분야 197개의 에너지 핵심기술 개발에 나선다.
산업부는 12월 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마련된 ‘2050 탄소중립 에너지기술 로드맵’과 ‘에너지 국제공동연구 로드맵’에서 이 같은 청사진을 발표했다.
탄소중립 에너지기술 로드맵은 산업부가 지난달 발표한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R&D전략’의 기초가 되는 자료다.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및 2050 탄소중립 실현에 필요한 13대 분야 197개 핵심기술의 개발 일정, 확보 방안 등을 담고 있다.
약 8개월간 산업통상자원 R&D 전력기획단 에너지 투자관리자(MD)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프로그램관리자(PD) 12명을 주축으로 산학연 전문가 약 180명이 집필에 참여했다.
13대 분야는 청정연료 발전, 연료전지, 태양광, 풍력, 그린수소, 에너지 저장, 섹터 커플링, 전력계통, 산단·건물, 에너지설비, 자원 순환, 정유,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 등이다.
에너지 생산과 관련해서는 발전용 수소터빈 기술, 연료전지 기반 ㎿급 복합발전 시스템,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질 실리콘 탠덤 전지, 20㎿급 해상풍력 발전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시스템 등의 핵심기술 개발이 추진된다.
이날 함께 발표된 에너지 국제공동연구 로드맵은 탄소중립 기술 선도국과의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핵심·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미 확보된 기술 등을 바탕으로 해외유망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제협력 수요가 높은 태양광·풍력·ESS(에너지저장장치) 등 6개 분야에서 핵심기술을 도출하고 중점 협력 대상국과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풍력 분야에서는 20㎿급 초대형 해상풍력 터빈 및 핵심부품 개념설계를 국제협력을 통해 확보할 핵심기술 중 하나로 꼽았으며, 덴마크, 네덜란드, 독일, 미국 등을 중점 협력국으로 제시했다.
산업부 강경성 에너지산업실장은 “그간 확보된 기술과 개발중인 기술의 보급·확산·고도화를 통해 2030 NDC 달성에 기여하고 한계돌파형 기술개발을 통해 에너지 구조를 전환해야 한다”며, “산업부는 필요한 예산 확보와 대형 통합형 R&D 도입, 국제공동 R&D 활성화 등을 통해 탄소중립 기술을 목표대로 차질없이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정부,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세웠다
- 정부, ‘에너지전환(원전감축) 비용보전 이행계획’ 확정
- 이제는 나눔형 모델이 대세!, ‘나눔형 모델’로 진화하고 있는 태양광 사업
- 산업부, 블루수소 연계 국내 최초 상용 규모 CCS 사업 추진… 2025년부터 연 40만톤 저장
- 산업부, 국내 최초 마을주도 태양광 지원사업 ‘햇빛두레 발전소’ 추진
-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빠르고 편리해진다
- ‘신재생 콜라보’, 태양광과 수소 활용한 도심형 에너지 순환 시스템 개발
- 산업부 내년 예산 11조 7,312억원…올해 본예산 대비 4.9%↑
- 정부, 주민 주도하는 마을태양광 시범사업 ‧ 영농형태양광 확대한다
- 재생에너지 숙원 해소될까? 정부, 입지‧인허가 혁신 등 보급 확대 추진
- 산업부, 태양광모듈 재활용센터 준공…연간 3,600t 폐모듈 처리
- 산업부, 내년 R&D 예산 사상 첫 5조원 돌파…전년대비 11.9%↑
- 전력망 보강으로 재생에너지 확산 지원한다… 2030년까지 78조원 투자 계획
- EH 그룹, 탄소 ‘순배출 제로’ 달성할 연료전지 기술개발 위한 조달금 유치
- 화재발생 막는다… 정부, 새 ESS안전기준 내달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