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성남시(시장 은수미)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미니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공동·단독주택 소유자나 세입자에게 설치비 90%를 지원한다고 2일 밝혔다.
미니태양광은 베란다나 옥상에 모듈 전지판을 설치해 생산된 전기를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발전시설이다. 성남시는 미니태양광 보급사업에 9,500만원을 투입하며, 자금소진 시까지 200가구를 지원한다.
설치비용은 난간 거치형, 건물 옥상 앵커형 등 설치 방식과 용량에 따라 60만~70만원(330~355W 모듈 1장 기준)이다.
설치비 90%를 지원받은 시민들은 자부담금 6만~7만원으로 ‘내 집을 미니태양광발전소’로 만들 수 있다.
가구당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 800W까지 설치를 지원해 330~355W 모듈 2장을 보조금으로 설치할 수 있다. 용량 355W의 미니태양광 발전설비는 한 달에 34kW의 전기를 생산한다.
이는 900ℓ짜리 양문형 냉장고를 한 달 동안 가동할 수 있는 전력이다. 전기요금으로 환산하면 한 달에 7,000원씩 연간 8만4,000원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성남시는 지난해에도 공동·단독주택 215가구에 1억1,500만원을 보조해 325~330W 용량의 미니태양광 설치를 지원했다.
관련기사
- 안양시, 미니태양광 설치시 최대 60만원 지원
- 대전시, 공동주택 및 산업체 경비실에 미니태양광 무상 보급
- 거창군, 공동주택 100가구 대상 미니태양광 보급사업 실시
- 부천시, 미니태양광 지원사업 추진… 주민참여형 친환경에너지 보급 확대
- 대전시, 미니태양광 보급지원 사업 350W급 모듈 2,282매 지원
- 경남도, 신재생에너지 보급 전년 대비 20% 증가… 1,813㎿ 규모
- ‘전대미문’ 태양광 보급 확대나선 인천시, 일반건축물까지 전면 확대
- 고양시, 공공건물에 태양광발전소 설치… 그린에너지 보급 확대
- 광명시, 공동 및 단독 주택 미니태양광 설치 지원
- 광주시, ‘2022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사업’ 추진
- 인천시, 민간주택 900가구에 태양광 설치비용 지원
- 성남시, 160가구 태양광·연료전지·태양열·지열 설치비 지원
- 곡성군, 2023년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47억원 투입한다
- 성남시, 59개 탄소중립 사업 추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 목표
